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소수력발전
우리나라의 경우 설비용량 10,000kW이하의 수력발전으로 정의.
-
송전선로/계통(Transmission network/system)
광역적인 전력수송을 위해 발전소와 배전소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로와 계통.
-
수락(Accession)
국제 조약 및 협약에 대한 수락 또는 가입. 비준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짐.
-
수반가스(Associated Gases / Casinghead Gases)
석유와 함께 부존되어 있는 천연가스, 수반가스에는 고급 탄화수소가 많은 비율로 포함되 있는 경우가 있음. 수반가스는 지하 저유층 속에서의 온도와 압력하에서 석유에 용해(Solution Gas)되어 있거나, 혹은 저유층 속에서 석유층 상부에 가스상태로 Cap을 형성하기도 함(Gas-Cap Gas).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수반가스"를 저유층 내에서 원유에 용해된 가스로 지칭하지 않고 직접 채취한 천연가스를 지칭함.
-
수소(Hydrogen)
원소기호로 H로서 가장 가볍고 우주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임. 일반적으로 분자상태로 존재하며, 물이나 유기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고 1차에너지의 변환 형태로 보기 때문에 에너지담체 또는 에너지매체라고도 한다.
-
수소불화탄소(HFCs)
불연성 무독성 가스로 취급이 용이하며, 화학적으로 안전하여 냉장고 및 에어컨의 냉매, 발포, 세정, 반도체 에칭가스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몬트리올의정서에 의해 사용이 규제된 CFCs, HCFCs의 대체물질임. 국내에서 소비되는 HFCs의 99%는 냉매인 HFC-134a 임.
-
수소액화(Hydrogen liquefaction)
수소는 20K이하의 온도로 낮추게 되면 액체상태로 존재한다.
-
수소에너지경제(Hydrogen energy economy)
수소에너지를 에너지매체로 하는 경제 체제.
-
수소저장(Hydrogen storage)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상용화된 방법은 고압기체저장, 액체저장 등이 있다.
-
수소저장합금
수소 저항 합금은 수소와 반응하여 수소를 수소 화합물의 형태로 대량으로 흡수하는 합금이다. 온도나 압력을 바꾸면 수소의 흡수와 방출을 가역적으로 되풀이할 수 있다. 따라서 수소의 저장과 수송용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소가 방출할 때의 가스압과 반응할 때의 열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소는 재생할 수 있어 고갈되지 않으며 더욱이 깨끗한 에너지원으로서 장래성을 촉망받고 있다. 수소 화합물을 형성하는 금속에 수소를 접촉시키면 수소 분자는 금속 표면에 흡착된다. 그중 일부는 수소원자로 분해되고 금속 결정격자 내부의 격자간 위치라고 불리는 틈새로 침입한다. 금속 속으로 흡수되는 수소의 수는 어떤 일정한 값에서 포화된다. 그러나 더욱 수소압을 높여 주면 수소 원자는 금속 속으로 침입을 계속하여 전체가 금속 수소 화합물로 바뀐다. 이것이 수소 저장 합금이다. 수소 저장 합금이 많은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은 원자가 꽉 들어찬 상태인 결정의 틈새로 침입하기 때문이다. 금속 결정 중에는 수소를 흡수할 수 있는 격차간 위치가 많이 존재하고 있어, 수소 저장 합금의 경우 금속 원자수의 1∼2배 정도의 수소 원자를 흡수 할 수 있다. 이렇게 수소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액체수소나 고압 수소가스의 형태로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에 비해 용적의 측면에서 보면 수소의 밀도를 매우 높일 수 있으나 중량면에서는 금속이 무겁기 때문에 중량비는 매우 낮다. 그러나 수소의 중량당 에너지 밀도는 매우 높아서 에너지 저장법으로서는 유망하다고 하겠다. 수소와 금속의 반응은 수소가스의 압력과 온도에 따라 흡수 또는 방출이 진행된다. 수소가스의 압력이 평형 압력보다 높으면 반응은 흡수쪽으로 진행되고 거꾸로 이보다 낮으면 방출된다. 이때 동시에 발열 또는 흡열 현상이 생기고 흡수의 경우는 발열하고 방출될 때는 흡열이 일어난다. 그래서 이 수소와 수소 저장 합금의 조합은 단순히 수소 저장법으로서 이용될 뿐 아니라 흡열과 방열을 되풀이하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그 응용 분야로서 가장 기대를 걸고 있는 것은 수소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이다. 수소는 연료로 사용해도 환경 오염의 염려가 적고 열 효율이 가솔린에 비해 금속 수소화물은 중량적으로 불리한 점은 있으나 축전지에 비하면 유리하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응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 수소 저장 합금과 수소를 폐쇄계에서 사용하는 콤프레서 연구도 하고 있다. 미국의 샌디아고 연구소는 이 합금을 사용한 콤프레서와 풍선을 사용하여 태양열에 의한 온수와 우물의 냉수를 이용하는 펌프를 검토하고 있다. 이밖에도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연구를 여러 기업과 연구소에서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히트 펌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가 실용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출 처 : "21세기를 여는 첨단과학기술",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