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사전

뒤로

용어사전

용어사진 아이콘

KIER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용어사전

에너지용어 어려우시죠? 궁금한 에너지용어가 있으신가요?
에너지용어가 알고싶다면 이제 이곳에서 검색해보세요. 쉽고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 RDF

    Refused Drived Fuel

  • Tar Sand(油砂)

    [그림설명] 거대한 견인장치가 습지를 파고 들어가서 하루 10만톤씩 퍼올린 타르샌드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대체 에너지가 뒤를 이어 등장한다고 해도 우리에게는 액체모양의연료원이 언제나 필요하게 될 것 같다. 원자력에너지나 태양에너지는 고정된 장소에서 발전을 하거나 열을 생산할 수는 있지만 원자로나 태양전지로 자동차나 트랙터를 가동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알코올도 보조용의 연료로 쓸 수는 있지만 식량 수요가 늘어나면 알코올 생산에 사용할 땅도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타르 샌드(油砂)를 포함한 중질 원유는 세계 석유 매장 확인량보다 훨씬 많은 양이 매장되어 있을 뿐 아니라 대체 원유로 전환하는 방법도 가장 간단하고 비용도 덜 먹혀서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세계의 타르 샌드는 거의 모두가 캐나다의 알버타주 아사바스카와 베네주엘라의 오리노코 강변에 깔려 있으며, 그 매장량은 각각 7천억 배럴에 이르고 있다. 캐나다 오일 샌드사는 벌써 1964년에 일당 4만 5천 배럴의 원유를 추출하는 시설을 건설하기 시작하여 이미 일당 15만 배럴을 생산하고 있으며 1990년대에는 국내 석유 수요의 3분의 1을 오일 샌드에서 공급하기로 목표를 세웠었다. 중질 원유는 재래의 원유와 비슷한 지질학적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 그러나 그 끈끈함(점도)은재래의 석유의 50∼1000배나 되고 고체모양을 하고 있다. 그래서 생산 과정도 만만치는 않다. 캐나다의 알버타주의 경우 우선 이끼낀 늪지대의 물을 뺀 뒤 식물과 흙을 벗기면 4∼10%의 중질원유를 내포한 거무튀튀한 타르 샌드가 나타난다. 바켓이 달린 바퀴의 굴착기로 캐낸 오일 샌드는컨베이어 벨트에 실려추출공장으로 운반된다. 그 중에는 13km나 먼 거리를 운반하는 것도 있다. 추출공장에 도착한 오일 샌드는 뜨거운 알칼리수와 섞여지는데, 타르 성분은 묽어져서 표면으로 떠오르고 모래는 가라앉는다. 타르 성분은 다시 정제공장으로 옮겨져 작은 유기분자로 쪼개진 뒤 석유생산용으로 증류된다. 여기서 일부는 황을 제거한 뒤 재래식의 정유소로 보내 원유가 되고 나머지는태워서 채광작업용의 동력 발전에 쓰인다. 매우 복잡한 것 같지만 이 공정은 셰일에서 석유를 뽑아내는 것이나 석탄을 액화하는 것에 비하면훨씬 간단한 편이다. 그런데 이 경우의 어려움은 작업 환경에서 발생한다. 캐나다 오일 샌드사는 첫 번째 공장을 건설한 뒤 거대한 바켓바퀴에 달린 톱니바퀴가 굴착작업 4∼8시간만에 닳아 버린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겨울철에는 모래가 너무나 딱딱하게 얼어붙기 때문에 톱니바퀴는 마찰로 벌겋게 달아오르고 4분의 1인치 두께의 바켓바퀴의 강철판이 찢겨 나가 버렸다. 타르 샌드는 접촉하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냉각장치와 제어장치도 막혀 버렸다. 그러나 겨울철 채광 문제는 여름철에 타르 샌드를 다이나마이트로 폭파해 두어 단단하게 얼어붙지 못하게 해서 극복할 수는 있게 되었으며, 바켓바퀴의 톱니바퀴도 마찰을 최소한으로 줄이게 다시 설계하고 마모가 적은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해결하게 되었다. 25억 달러의 비용을 들여 건설된 일산 12만 9천 배럴의 두 번째 추출공장은 1978년 가동을 개시했다. 알버타주와 엑슨 산하의 임페리얼 석유사를 비롯한 석유 기업 컨서시엄이 운영하는 이 프로젝트는 80입방 야드의 거대한 견인식 바켓으로 타르 샌드를 파고 있으며 이와 꼭 같은 식의 제 3공장이 또 하나 건설되었다. 한편, 채굴에서도 새로운 방법들을 시도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는 땅속에 강력한 전류를 보내서기름을 데우는 방법이다. 임페리얼 석유사는 60억 달러를 투입하여 우물을 통해 땅속의 타르 샌드에 증기를 주입함으로써 일산 16만 배럴을 생산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런데 처음 투자는 비교적 많기는 하지만 길게 내다보면 타르 샌드에서 나오는 기름 생산가는 재래의 석유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컨대 영국의 북해 유전의 경우 25억 달러를 들여 개발했으나 처음 일산 10만 배럴이었던 생산량은 4억 배럴의 매장량이 고갈될 때까지 차츰차츰 줄어든다. 반면 타르 샌드의 경우는 총매장량이 고갈될 때까지 매일 생산량은 최고수준을 꾸준히 지켜나갈 전망이다.

  • TC

    Ton of Carbon ; 탄소톤

  • Thermal NOx

    연소용 공기 중의 질소가 고온에서 산화하여 생성되는 질소 산화물.

  • TOE

    Ton of Oil Equivalent ; 석유환산톤

  • UNCED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유엔환경대발회의)의 약칭.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 이후 20년만에 개최된 환경에 관한 유엔회의. 1992년 6월 3일 부터 14일에 걸쳐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로에서 개최되어, 각국 원수 또는 정부수뇌가 출석했기 때문에 지구서미트라고도 불린다.

  • WTI

    West Texas Intermediate의 약자로. 미국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원유를 말한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이루어지는 선물거래의 주요상품의 하나로 북해 브랜트원유와 함께 구미 석유시장의 지표가 된다.

  • 가동율(Lf)

    1년동안에 발전된 총발전량을 최대출력(설비용량)으로만 발전되었다고 가정할 떄 발전한 시간과 1년(8,760시간)에 대한 비율(%)

  • 가스오일(Gas oil)

    끓는점이 200∼350℃의 범위에 속하는 석유제품을 말한다. 가스유, 중유, 경유, 중질등유, 발동기유라고도 한다. 등유와 중유의 중간 유분으로, 비중은 대체로 0.84∼0.90이다. 석유 원유를 증류하여 끓는점 200∼350℃ 사이에 유분을 채취하여 황산 및 가성소다로 세정하고 정제하여 제품으로 한다. 용도는 대체로 등유와 비슷하여 등화용, 동력용(석유기관, 고속 디젤 기관 등), 열용 등으로 사용되며, 기타 기계의 세척, 석유유제, 절삭유 등에도 사용된다. 수성가스 등의 중열용으로 사용한 데서 유래하여 가스 오일이라고 하게 되었다. 출처 : [가스뉴스 kgnp@gasnews.com]

  • 가스터빈(Gas turbine)

    터빈기관으로서 압축된 뜨거운 연소가스가 터빈을 작동시키고, 다음으로 이 터빈은 연소공기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압축기(콤프레샤)를 작동시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