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한국경제] 식물의 광합성도 물과 이산화탄소를 결합하는 화학반응

  • 작성일 2021.04.12
  • 조회수 22432

과학 이야기

과학과 놀자 (44) 화학반응에 대한 이해

     

화학공장은 전처리, 반응, 분리·정제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주요 구성 장치는 반응기, 열교환기, 분리기(증류탑, 흡착탑)가 있다. 증류탑과 흡착탑은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생성물의 순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열교환기는 온도가 다른 유체가 흐르는 관을 접촉해 에너지 비용을 절감시켜준다. 우리나라에 분리·정제 및 열교환기에 대한 세계적인 전문가들이 많지만 반응기를 설계할 수 있는 전문가는 매우 드물다.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속도는 가장 느린 과정에 의해 결정


화학반응은 어떠한 물질이 화학 변화를 겪어 다른 물질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화학반응의 중요한 두 요소는 반응속도화학평형개념이다. 반응속도는 어떤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공기 중에서 쇠가 산화되는(녹스는) 반응은 몇 년이 걸리는 느린 반응이지만, 부탄가스가 연소되는 반응은 단 몇 초 만에 일어난다. 이처럼 반응속도는 반응온도, 압력, 반응물·생성물 농도, 촉매 사용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대부분 촉매는 반응속도를 증가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화학과와 화학공학과에서 다루는 촉매의 종류는 다르다. 화학과에서는 반응물과 촉매의 상(phase: 물질의 상태)이 같은 균일(homogeneous) 촉매를 다룬다. 즉 반응물과 촉매가 모두 액체기 때문에 반응물이 촉매에 접촉하는 현상을 크게 고려하지 않는다. 화학공학과에서는 반응 이후 반응물과 촉매를 쉽게 분리하기 위해 반응물과 촉매 간 상이 다른 불균일(heterogeneous) 촉매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반응물의 상은 액체, 기체 또는 액체/기체며 촉매는 주로 고체를 사용한다.

 

반응물이 촉매 활성점에 도달하는 과정(확산, 흡착)과 촉매 표면반응 중 더 느린 과정이 속도 결정단계, 이는 전체 반응시간을 결정한다. 대전 유성구에 있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부산역을 간다고 가정하면, 연구원에서 대전역까지 택시로 20분이며 부산역까지는 KTX2시간이 걸린다. 여기서 속도 결정단계는 KTX 타고 가는 과정이며 전체 시간은 KTX 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표면 반응속도가 속도 결정단계일 때 온도가 10증가할 때마다 반응속도가 2배 증가한다는 경험법칙이 있다(사실 특정 활성화 에너지와 온도에서만 성립). 만약 물질전달이 속도 결정단계일 경우 100를 증가시켜도 전체 반응속도는 고작 1.7% 정도만 증가할 수 있다. 어느 과정이 속도 결정단계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그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변수를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화학평형은 겉보기에 아무 변화가 없는 상태


화학평형은 반응의 종착지를 알려준다.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가 같아져 겉보기에 화학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암모니아 합성 반응에서 암모니아가 생성(정반응)되는 속도와 암모니아가 수소와 질소로 분해(역반응)되는 속도가 같은 지점이 바로 화학평형 상태다. 마찬가지로 금속을 일정한 열량으로 가열한다면 충분한 시간 후에는 금속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 지점이 평형 상태라고 볼 수 있다. 금속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요인(가열)과 감소시키는 요인(열 손실)이 발생하고 있지만, 그 정도가 같기 때문에 금속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바로 화학평형 지점에서 최대 전환율인 평형 전환율을 얻을 수 있다. 평형 전환율은 반응온도, 압력, 반응물 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촉매는 반응속도(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에만 영향을 줄 뿐 종착지인 화학평형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

반응이 일어남에 따라 열이 흡수(흡열반응)되거나 발생(발열반응)하기도 한다. 식물은 물과 이산화탄소를 결합해 포도당과 산소를 만드는 광합성 반응을 하며 이 반응은 대표적인 흡열반응 중 하나다. 화학평형 측면에서 흡열반응은 열이 충분히 공급돼야 반응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으며, 발열반응의 경우 열을 잘 제거해줘야 반응이 더 많이 일어난다. 열을 어떻게 공급 혹은 제거할 것인가는 반응기를 어떤 형태로 제작할 것인가에 영향을 준다. 그리고 심한 발열반응의 경우 안전을 위해 온도 제어가 필수적이다. 반응기를 설계하기 위해서 반응공학, 촉매공학, 유체역학, 물질전달, 열역학, 설계 기술 등 다양한 학문이 요구되며 검증을 위해선 실제 반응기와 비슷한 대규모 실험 장치가 필요하다.


화학 반응기 설계 기술은 아직 미흡


반응기를 설계하는 일은 종합적인 학문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시행착오(시간, )가 많이 요구된다. 우리나라는 반응공정을 직접 설계하기보다 해외에서 기술을 구매해 빠른 속도로 산업화를 진행했다. 그로 인해 울산석유화학 단지가 조성된 지 벌써 5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반응기 설계기술은 미흡한 실정이다. 앞으로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에서 미래 선도자(first mover)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꾸준하고 우직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기억해주세요

 

화학반응은 어떠한 물질이 화학 변화를 겪어 다른 물질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반응속도는 어떤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이고 화학평형은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가 같아져 겉보기에 화학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화학공장의 핵심 장치인 반응기를 설계하는 우리나라의 기술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기사원문링크 :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21040953141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1/15

전체 281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이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도시를 에너지 자립화 기술 개발에 나선다. 2020년까지 관련 요소 기술을 확보하고 이후 국내 …
2017.07.04
신재생에너지 세계 여는 숨은 열쇠… 값싼 ‘촉매’를 찾아라     첨단 촉매 기술’ 개발 각축   크게보기   화학공학자들은 20세기 가장 중요한 발명 중 하…
2017.04.21
  온실가스 감축 최우선 해법 ‘Non-CO₂’에 주목하라 Non-CO₂온실가스저감기술개발사업단 문승현 사업단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환경일보] 박미경 기자 …
2016.10.25
  [사이언스 리뷰]한계비용 제로사회로 에너지기술 패러다임 변화     ▲ 고희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한계 비용 제로 사회는 사…
2016.10.20
  [시론] 지속가능사회로 향한 수소에너지 역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실 김종원 책임연구원         작년 12월 제21차 세계기후변화협약 당…
2016.10.19
  ‘제16회 모형 태양광자동차 경주대회’ 성료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에서 진행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최 ‘제16회 모형 태양광자동차(솔라…
2016.10.17
  [기고] 패밀리가 떴다…中企 `원스톱 지원` 나선 출연硏들     세계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 미국의 내수 경기가 나아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2008년 서브프…
2016.10.05
  에너지기술硏, 기술지원 멘토링 만났다    '춘향전'의 배경이 된 남원은 전주, 원주와 함께 한지 생산으로 유명한 지역이다. 남원에 위치한 중소기업 지리…
2016.09.28
  “석탄 화력발전에 CCS 기술 접목 이산화탄소 90% 이상 잡아낼 것” [인터뷰]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재구 FEP융합연구단장     석탄 화력발전소 굴뚝에서 오…
2016.09.11
  지금 이곳에선- 인터뷰 박스   박순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글로벌연구센터 소장        
2016.09.02
  지금 이곳에선 제주글로벌연구센터     
2016.09.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기술로 미래를 열다         
2016.08.29
  [YTN] 바닷물-민물 농도차 이용 전기 생산…미래 에너지로 주목       
2016.07.08
  차세대 해양에너지: 염분차 발전         태양광, 풍력, 지열 등 기존의 주축 신재생에너지는 육상을 기반으로 한다. 하지만 육지는 면적에 한계가 있어 무…
2016.07.05
  미래에너지 '바닷물'에 답이 있다 에너지기술硏, 세계 최고 수준 '염분차발전' 및 '미생물전기분해 기술' 개발... 상용화 노력 '구슬땀'   최근까지 개발돼…
2016.07.04
  바닷물·민물 염분차 활용 전기생산 한창 터빈 필요없는 역전기투석… 500W급 염분차 스택발전20㎾급 파일럿 플랜트기술… 2020년까지 개발 끝내기로미생물로 폐…
2016.06.26
  바닷물 속 염분·해상풍력… 친환경에너지 신기술의 寶庫  삼투현상 이용한 '해양염분차 발전' 연구 국내최초 kW급 모듈 제작 기술개발 성공       …
2016.06.26
  [현장르포]제주, '해양과학' 바람맞다 해양과기원 제주연구센터 설립 1주년...해양 바이오소재 등 지역특화 연구 집중 에너지연, 바닷물 염분 차이로 전기 생…
2016.06.26
  [과학특공대] '에너지 기술변혁' 현장을 가다  솔라하우스부터 CO₂포집까지…기후변화대응 'R&D 선두주자'     대한민국이 선진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나기…
2016.06.17
 에너지기술 융합, 미래혁신 키워드 “에너지기술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1980~90년대는 에너지절약이었지만 2000년대 지금은 저탄소 녹색성장으로 바뀌었다.…
2016.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