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헤럴드경제] 지역주도 탄소중립 선결과제

  • 작성일 2021.12.13
  • 조회수 12022

이번주는 정부 부처와 지자체가 합동으로 운영하는 탄소중립 주간이다. 2050 탄소중립 선언 1주년을 맞아 시민이 함께하는 소통의 장으로 마련한 것이다.

 

전 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이 필요한 매우 어렵고 힘든 길이지만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해 사회구성원 모두가 작은 노력부터 같이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국가적 목표와 전략을 지자체로 확산하고 공동 협력할 수 있어야 그 성공이 가능하기에 지역의 주도적 역할이 중요하다. 해외에서도 도시와 지방정부가 온실가스의 주요 배출원이자 감축 이행의 주체라는 인식하에 자발적으로 탄소중립에 앞장서는 사례가 확산되고 있다.

 

우리도 200개 이상의 지자체가 기후위기 비상선언을 선포하고 100여개 지자체가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에 참여 중이나 선언이 구체적 실행으로 이어지기에는 역부족이다. 에너지 수급과 산업 현황이 서로 다른 지역들이 각 지역 실정에 맞춰 탄소중립 이행을 주도하는 실질적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정부-지자체 간 체계적 협업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충남 등 석탄발전을 비롯한 고탄소산업으로 온실가스를 크게 배출하는 지역과 서울 등 대도시처럼 에너지 생산의 기여는 적고 그 수혜만 큰 현재의 에너지 생산·소비 지역편중성을 고려해야 한다.

 

탄소배출 절감에 대한 의무와 혜택이 정부-지자체-지역사회 간 갈등 발생의 요인이 되거나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지자체의 주도적 역할수행에 저해 요인이 되지 않도록 지역 환경에 부합하는 권한 이양도 필요하다.

 

지역 주도가 어려운 발전·산업 부문보다는 건물·수송·공공 등 비산업 부문에서 각 지역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감축원을 발굴하고 능동적 실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별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이 급선무다.

 

국가 차원에서 1990년 이후 최근 연도까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 실적을 국제 분류 기준에 따라 관리하고 보고해온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체계적으로 연계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국가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이지만 지역이 그 감축의 실천을 주도하기 어려운 발전·산업 부문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에너지 통합 플랫폼 구축이다. 도시형 재생에너지 핵심 기술, 에너지 저장이나 에너지 공유 플랫폼 기술 등 특화 기술을 개발·적용해 도시의 에너지 자급율을 높이면 지역 간 전력 수급 불균형 해소에 크게 기여 가능하며, 지역망 중심의 전력계통 개선, 섹터커플링 기술 기반의 부문 간 연계 고도화도 중요하다.

 

그러나 지역에 최적화된 혁신 기술의 적용과 분산 발전의 확대가 탄소중립 구현에 바르게 기여하려면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관리하고 수요와 공급을 예측해 에너지 수급을 최적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수 기관에 분산된 자원 데이터의 통합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산개된 전력데이터의 수집을 법제화하고 데이터 품질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정보의 바른 분석·가공·유통을 뒷받침할 에너지 데이터댐 구축이 필요하다.

 

더불어 AI 기반의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기술 고도화로 전국의 전력 수급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재생에너지의 잉여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 품질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기존 에너지 시스템에 연계시키는 에너지 데이터 플랫폼 구축은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선결 과제다.


기사원문링크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1209000383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7/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 신재생에너지사회로 가는 연결 고리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필요- 이산화탄소를 먹는 하마 ‘키어솔(KIERSOL)’ 기술 북미 지역 수출 기대  …
2021.05.12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탄소중립이란 인간이 배출하는 온실가스 양을 줄이고, 줄이지 못한 분량은 최대한 제거해 실질적인 탄소 배 출량을 '…
2021.05.04
[이경환 책임연구원과 김영두 선임연구원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화암캠퍼스에 구축한 연속 열분해 공정 시스템의 운전 성능 결과를 두고 이야기를 나누고 잇…
2021.04.26
재생에너지 혁신기술 개발 박차미세먼지 저감 등 생활환경 기여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전경.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찰스 다윈은 진화론과 관…
2021.04.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경전세계적으로 친환경 에너지 개발·상용화에 대한 관심이 높다.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해 전기, 수…
2021.04.20
- 에너지연, 태양광·수소·CCS 기술 개발 “탄소중립 사회” 실현- 탄소중립?, 기후위기에 영향을 주는 탄소 배출 “0” 만들기   지구 기후변화 위기를 해결하기 …
2021.04.16
[과학금융 시리즈 下]①윤기동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출연연·지자체·기업 연결해 '윈윈 구조' 만들자"기술 보유자인 연구자, 기업이전·창업 참여 중요   …
2021.04.15
과학 이야기과학과 놀자 (44) 화학반응에 대한 이해      화학공장은 전처리, 반응, 분리·정제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주요 구성 장치는 반응기, 열교환기, 분…
2021.04.12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이 화두다. 시나리오 작성을 시작으로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정책·제도 개선안 마련, 산업계 대응 방향, 지자체 및 시민사회의 …
2021.04.01
■ 윤하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앵커]휴대전화부터 전기차까지 배터리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엔 플렉서블 웨어러블 기기가…
2021.03.26
[우상혁 한국에너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기후변화라는 말을 들으면 아마도 대부분 독자들은 조그만 얼음 위에 서 있는 북극곰을 상상할 것이다. 기후 변화는 최…
2021.03.23
이산화탄소 배출없는 친환경에너지 주목에너지기술硏, 고효율 수전해 기술 개발수소자동차 상용화 시대 앞당길 원천기술[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진이 개발한 수…
2021.03.17
과학 이야기과학과 놀자 (40) 석유화학산업의 이해   플라스틱 섬유 등 우리 소지품 70% 이상이 석유화학 산물   원유를 끓는점 차이로 분리·정제해 나프타…
2021.03.15
■ 강기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앵커]태양으로부터 받은 빛을 전기로 활용하는 '태양광 에너지'는 미래 대체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죠. 하지만 태양…
2021.03.12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나날이 심각해지는 지구 온난화 문제로 인해 이제는 전 세계가 현실을 자각하고 있으며 탄소중립사회 실현을 위한 노…
2021.02.26
백동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차세대전지연구개발센터 책임연구위원요즘 출퇴근길에 연구소에서 가까운 남구 옥동 수소충전소를 매일 지나다니며 눈여겨보…
2021.02.24
과학 이야기   과학과 놀자 (37) 정유산업의 이해   화학공학과에서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는 '석유는 언제쯤 고갈될까'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2018년 원…
2021.02.22
세계 주요국이 앞다퉈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2050 탄소중립’을 향한 사회 전 분야 전환을 위해 ‘유럽그린딜’을 발표하고 관련 노력들을 기울…
2021.02.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진석 책임연구원] 필자는 바이오디젤 보급 초기 단계부터 연구개발을 진행해 오면서 관련 산업의 태동 시기의 혼란스러움과 어려움을 …
2021.02.15
[국민 생활 도움 주는 과학기술센터] (3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시멘트 제조는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산업군이다. 따라서 …
2021.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