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가스신문] (인터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두환 박사 “연료전지 핵심부품 국산화에 자부심”

  • 작성일 2022.04.14
  • 조회수 40562

36년 간 연료전지 연구, 연료전지 분리판 수입 의존

CNT 분리판 기술 개발···연간 1조원 시장 대체효과


[가스신문 = 양인범 기자] “CNT(탄소나노튜브)를 분리판에 넣어 양산한 것은 세계 최초로, 향후 이 기술이 국내 연료전지 부품 핵심기술이 될 것입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정두환 박사는 지난 86년부터 36년이 넘는 기간동안 연료전지 기술을 연구한 이 분야 전문가다. 그는 연료전지 분야를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기여한 공로로 지난 2007년에는 산업포장을 수상하기도 했다.

 

정 박사와 에기연 연구진이 개발한 전기전도도와 강도가 향상된 수소연료전지용 CNT 복합소재 분리판 제조기술은 씨앤티솔루션에 이전되었다. 정두환 박사로부터 기술 개발 과정에 대해 자세히 들어봤다.

 

“86년부터 인산형 연료전지를 연구했는데, 이 때 바이폴라(bi-polar)는 흑연판을 가공해 사용했습니다.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한 흑연블록을 사용해 인산형 연료전지의 바이폴라 유로를 가공해 사용했는데, 취성에 약하고 흑연판이 다공성이 있어 수소가 바이폴라를 관통하는 현상이 있습니다.”

 

바이폴라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를 함침하여 쓰는 등 복잡한 제조 공정이 필요했기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산 기술의 필요성을 인식했다고 정 박사는 말했다.

 

“1990년 이후에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와 고분자 연료전지(PEMFC) 연구를 시작하면서 자체 연구를 통해 흑연에 CNT가 첨가되는 필러를 사용해 수지를 결합제로 사용하는 바이폴라의 원천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96년에 특허 등록했습니다. 게다가 3년전 일본의 수출 규제로 국내 자체 생산이 꼭 필요하기도 했습니다.”

 

그가 개발한 탄소복합체 분리판 기술은 여러 연료전지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인산형, 고분자, 메탄올 연료전지에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이 제품들의 바이폴라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만큼 국내 시장 기준으로 연간 1조원 이상 수입 대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보통 연료전지의 발전용량은 MEA (Membrane and Electrode Assembly)의 크기와 개수로서 결정된다.

 

“5kW의 연료전지의 유효면적은 200c, 150장의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필요합니다. 저희 기술은 건물용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스택의 음극과 양극 탄소 바이폴라 사이에 MEA를 장착시켜 사용합니다.”

 

그는 30년 넘게 연료전지를 연구해오면서, 국내 기술도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지만 아직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시스템 제조 측면에서는 선진국 수준이라고 봅니다. 그러나 촉매, 가스확산층, 멤브레인 등 MEA 제조에 필요한 원천 소재 기술, 시스템 효율을 높이는 BOP기술 등은 열악하기에 이에 대한 정부 지원 기초 및 생산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정 박사는 수소경제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수소 생산 기술에 대한 국가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가의 수소를 쓰려면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수소를 생산해야 합니다. 국가 차원에서 이 기술에 대해 지원이 있어야 합니다. 현재 저는 연료전지 외에도 수전해 장치에 탄소 전극을 이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는 지난 36년여간 연료전지와 탄소 소재 부문 논문을 150여편 쓸 만큼 열정적으로 연구를 해왔다. 정두환 박사는 수소에너지의 이용은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필연적인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자동차도 현재는 2차 전지로의 전환이 대세이나 차세대 구동원은 수소라고 생각합니다. 기존 가스 배관망을 이용해 수소의 공급망 확충이 점진적으로 필요합니다.”


기사원문링크 : http://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4511

Print Back

페이지 6/14

전체 266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인간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제거해 실질적 배출량이 ‘0’이 되게 하는 개념인 ‘탄소중립 2050’ 목표 구현이 선언된 …
2021.05.13
- 신재생에너지사회로 가는 연결 고리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필요- 이산화탄소를 먹는 하마 ‘키어솔(KIERSOL)’ 기술 북미 지역 수출 기대  …
2021.05.12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탄소중립이란 인간이 배출하는 온실가스 양을 줄이고, 줄이지 못한 분량은 최대한 제거해 실질적인 탄소 배 출량을 '…
2021.05.04
[이경환 책임연구원과 김영두 선임연구원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화암캠퍼스에 구축한 연속 열분해 공정 시스템의 운전 성능 결과를 두고 이야기를 나누고 잇…
2021.04.26
재생에너지 혁신기술 개발 박차미세먼지 저감 등 생활환경 기여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전경. /사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찰스 다윈은 진화론과 관…
2021.04.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경전세계적으로 친환경 에너지 개발·상용화에 대한 관심이 높다.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해 전기, 수…
2021.04.20
- 에너지연, 태양광·수소·CCS 기술 개발 “탄소중립 사회” 실현- 탄소중립?, 기후위기에 영향을 주는 탄소 배출 “0” 만들기   지구 기후변화 위기를 해결하기 …
2021.04.16
[과학금융 시리즈 下]①윤기동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출연연·지자체·기업 연결해 '윈윈 구조' 만들자"기술 보유자인 연구자, 기업이전·창업 참여 중요   …
2021.04.15
과학 이야기과학과 놀자 (44) 화학반응에 대한 이해      화학공장은 전처리, 반응, 분리·정제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주요 구성 장치는 반응기, 열교환기, 분…
2021.04.12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이 화두다. 시나리오 작성을 시작으로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정책·제도 개선안 마련, 산업계 대응 방향, 지자체 및 시민사회의 …
2021.04.01
■ 윤하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앵커]휴대전화부터 전기차까지 배터리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엔 플렉서블 웨어러블 기기가…
2021.03.26
[우상혁 한국에너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기후변화라는 말을 들으면 아마도 대부분 독자들은 조그만 얼음 위에 서 있는 북극곰을 상상할 것이다. 기후 변화는 최…
2021.03.23
이산화탄소 배출없는 친환경에너지 주목에너지기술硏, 고효율 수전해 기술 개발수소자동차 상용화 시대 앞당길 원천기술[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진이 개발한 수…
2021.03.17
과학 이야기과학과 놀자 (40) 석유화학산업의 이해   플라스틱 섬유 등 우리 소지품 70% 이상이 석유화학 산물   원유를 끓는점 차이로 분리·정제해 나프타…
2021.03.15
■ 강기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앵커]태양으로부터 받은 빛을 전기로 활용하는 '태양광 에너지'는 미래 대체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죠. 하지만 태양…
2021.03.12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나날이 심각해지는 지구 온난화 문제로 인해 이제는 전 세계가 현실을 자각하고 있으며 탄소중립사회 실현을 위한 노…
2021.02.26
백동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차세대전지연구개발센터 책임연구위원요즘 출퇴근길에 연구소에서 가까운 남구 옥동 수소충전소를 매일 지나다니며 눈여겨보…
2021.02.24
과학 이야기   과학과 놀자 (37) 정유산업의 이해   화학공학과에서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는 '석유는 언제쯤 고갈될까'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2018년 원…
2021.02.22
세계 주요국이 앞다퉈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2050 탄소중립’을 향한 사회 전 분야 전환을 위해 ‘유럽그린딜’을 발표하고 관련 노력들을 기울…
2021.02.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진석 책임연구원] 필자는 바이오디젤 보급 초기 단계부터 연구개발을 진행해 오면서 관련 산업의 태동 시기의 혼란스러움과 어려움을 …
2021.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