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헤럴드경제] 혁신은 기술·시장·정책이 함께해야

  • 작성일 2022.07.14
  • 조회수 90614

실리콘 태양전지는 꾸준한 기술개발을 통한 효율향상과 단가절감으로 세계 태양광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 중이다. 이는 설치관련 간접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우리나라에서도 태양광을 신재생에너지 중 가장 저렴한 에너지원으로 만드는데 기여했다. 상용 태양전지 효율이 이론한계인 29.4%에 근접함에 따라 최근 '탠덤' 태양전지 혁신기술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서로 다른 파장의 태양빛 흡수대역을 갖는 재료를 적층하여 태양광 스펙트럼 활용을 극대화하는 탠덤태양전지는 우주 활용 상용기술인 효율 30% GaAs 소재 기반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나 45% 이상 초고효율 다중접합 집광기술을 고려할 때 그 개념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기존 기술로는 비용편익적 탄소중립 기여가 어렵기 때문에 저가 소재공정의 탠덤 태양전지 연구개발과 조기 상용화가 절실한 것이다.

 

페로브스카이트 소자는 단기간 고효율 달성으로 학계에서 급부상했으나, 실리콘의 대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두 소재를 이중접합 탠덤소자로 접목하면 단일접합으로는 불가능한 44% 이론효율을 가지므로 실리콘 기술이 주류인 산업계에서도 주목받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페로브스카이트 원천기술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태양광 기업들을 보유하고 있어 더욱 경쟁력이 있다.

 

스위스 전자미세기술센터(CSEM) 및 로잔연방공대(EPFL)는 지난 주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소자 효율 31.25%로 세계 최고기록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1 cm2 소면적으로 얻은 결과지만 독일 헬름홀츠베를린센터(HZB)가 지난해 달성한 29.8%를 갱신했을 뿐 아니라 저가 재료와 공정을 사용하여 30%를 능가한 첫 결과로 그 의미가 크다. 한편, 미국 태양광 모듈 주거용·상업용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한화큐셀은 정부과제와 연계한 차세대 기술개발에 주력하여 지난 달 말 6인치 대면적 탠덤 셀 개발에 성공, 2025년 세계 최초 양산을 목표로 매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소면적 기술과 크게 차별되어 고무적이나 전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하기에 국가적 역량 집중이 요구된다.

 

실리콘 잉곳·웨이퍼뿐 아니라 셀·모듈에 이르기까지 태양광 글로벌 가치사슬에 대한 중국 점유율이 높아 우려도 크나, ‘중국만 배 불린다는 이유로 태양광 보급을 주저하는 나라는 없다. 전 가치사슬 영역에 국내 기업들이 포진해 있던 과거에도 세계 태양광 확대 전망은 명백했으나 국가 정책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에너지 분야를 비롯한 여타 산업군 내 수많은 제품·기술들이 외국산인 마당에 모든 가치사슬에 국산만 고집할 수도 없다.

 

지금은 포스트 실리콘 시대를 위한 고부가가치 기술의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무엇보다 한화큐셀, 현대에너지솔루션 등 세계에서 인정받는 우리 태양전지 양산기업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독보적 경쟁력을 가지도록 상용 실리콘 기반 차세대 기술의 핵심가치사슬 확보가 시급하다. 초격차기술 개발과 첨단소재·부품·장비산업 강화로 탄소중립의 주요수단인 태양광을 국가전략사업으로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빌게이츠가 그의 책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에서 얘기한 것처럼 혁신은 기술정책시장 세 가지에 동시 집중할 때 가능한 것이다. 우리 정부는 지난 5일 국무회의에서 새정부 에너지정책 방향을 심의·의결하고 발표했다.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안보 강화, 에너지 신산업 창출을 통한 튼튼한 에너지 시스템 구현이라는 목표에 부응하도록 태양광 기술혁신을 위한 산업생태계 조성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기대한다.


기사원문링크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714000589

Print Back

페이지 5/15

전체 284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박상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계산과학연구실 선임연구원]4차 산업혁명은 실제와 가상의 결합으로 사물을 자동적·지능적으로 제어하는 가상 물리 시스템 구현…
2022.01.10
[김두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폐플라스틱이 잘게 쪼개진 형태인 '미세 플라스틱'은 바다로 흘러가 해양 생태계와 우리 식탁을 위협한다. 국제 연구…
2021.12.27
[인터뷰]김동석 에너지연 울산분원 센터장타전공·10여년 사무직, 셀 1만번 이상 만들어"빛 받을수록 떨어지는 효율 해결···과학자 사명"김동석 센터장은 1972년…
2021.12.15
▲양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에너지연구본부장[투데이에너지] 수소는 순환주기가 매우 짧고 고갈의 염려가 없으며 기후 변화 및 대기오염 등의 환경문제…
2021.12.14
이번주는 정부 부처와 지자체가 합동으로 운영하는 ‘탄소중립 주간’이다. 2050 탄소중립 선언 1주년을 맞아 시민이 함께하는 소통의 장으로 마련한 것이다.   …
2021.12.13
[탄소중립을 말하다] ③ 탄소중립을 위한 우리의 기술, 어디까지 왔나 기후위기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면서 ‘탄소중립’이 전 지구적 과제로 떠올랐다. 어느 국…
2021.12.02
수소를 전기로 변환하는 연료전지로화석연료보다 활용도·효용성 훨씬 커국내연구진 성능 2배·내구성 5배 높인코어-셀 구조 전극촉매 원천기술 확보한국에너지기…
2021.12.02
올해 여성과학기술인상 수상2005년부터 연구원에서 근무   17년간 수소연료전지 매진연료전지 기술이전도 담당“연료전지 분야에만 17년 이상 연구하며, 한 길…
2021.12.01
[인터뷰] 2021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인상 산업부문 수상자김민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발전용 연료전지 기술 100% 국산화기업 기술이전에도 힘써동…
2021.11.22
지구의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한국 등 세계 137개국은 탄소중립을 선언했으며 법제화를 마친 나라도 있다. 우리나라는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등 …
2021.11.17
재생에너지 보급과 확산, 분산자원 활용으로 점점 커지는 에너지 수급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이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
2021.11.15
[이재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EP융합연구단 단장]지난달 18일 개최된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는 2050탄소중립 시나리오안과 2030 국가 온실…
2021.11.10
2일 2021 대구·경북 그랜드포럼서 무탄소 발전 역설원자력 감축 및 태양광·풍력 발전은 세계적 추세 강조‘2021 대구·경북 그랜드포럼’이 ‘탄소중립시대, 대구·…
2021.11.05
에너지연, 암모니아에서 순도 99.9% '그린수소' 생산기계연, 플라즈마+재생에너지로 무탄소 암모니아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그린수소. 하지만 국내…
2021.10.28
정부는 27일 국무회의에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심의·확정했다.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량 ‘0’을 목표로 지난해 …
2021.10.28
유럽 대비 늦게 시작한 만큼 기술 시차 있어…정부 적극 투자 필요  ▲조원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에너지연구본부 수소연구단장.(사진제공=한국에너지기술…
2021.09.28
■ 조원철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단장대한민국 과학을 이끌어가는 과학자들의 연구와 삶을 들여다보며 그들을 응원하는 여든 여섯 번째 주인공! 조원…
2021.09.23
탄소중립위원회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이 발표된 이래 각계각층의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회에서는 지난달 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
2021.09.16
[2050년 탄소중립 실현과 태양광 혁신기술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태양광연구단 윤재호 단장. 위 장비는 롤투롤 스퍼터링 시스템…
2021.09.16
[우중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바이오에너지연구개발센터장]초강력 폭우·홍수·폭염·산불 등 이상기후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최근 서유럽에…
2021.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