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농축장치 자체 개발의 위업

  • 작성일 2008.12.23
  • 조회수 43833

KIER는 1998년 인체에 유해하고 공해를 유발하는 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500N㎥/hr 처리 규모의 중소형흡착농축장치의 개발에 착수했다. KIER에서 연구 개발하게 된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농축용 세라믹 로터는 공기 중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핵심부품이었다.

■ 휘발성유기화합물

휘 발 성 유 기 화 합 물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이란 톨루엔, 벤젠과 같이 상온에서는 액체이지만 휘발성이 커서 쉽게 증발하여 대기 중으로 날아가는 화합물을 일컫는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냄새가 강하기 때문에 작업장 내에서의 작업 수행을 어렵게 하며, 휘발성유기화합물에 장기간 노출되면 두통, 메스꺼움을 일으키고 심할 경우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대기환경보전법을 제정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을 규제하고 있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 대량 배출업체는 반드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자세한 내용은 eBook 또는 PDF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Print Back

전체 253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새로운 에너지개발 선택이 아닌 운명       에너지는 식량과 더불어 인간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가장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그러나 시간이 갈…
2012.10.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한문희 www.kier.re.kr) 태양광연구단(단장 이정철)은 “PV Value-Chain별 기술혁신을 통한 태양광발전 Grid Parity 달성”이라는 …
2010.10.20
폐식용유의 재활용기술이 개발된다면 바이오디젤 생산원료(식용유)의 수입대체 효과와 함께 폐식용유를 원료로 하는 데 따른 원료비 절감,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2008.12.23
KIER의 연속식 자동화공정의 실증연구사업으로 국내 폐유 재활용업체의 채산성과 안정적 운영기반을 확립하게 되었으며, 석유에너지 수입대체 효과 및 공정대체…
2008.12.23
KIER에서 개발된 연속식 열분해 유화공정은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 등 모든 측면에서 선진국 기술과의 경쟁력을 충분히 갖추었으며, 국내의 열악한 기술 및 설…
2008.12.23
KIER는 단계적인 실험을 통해 얻은 설계 데이터를 단계적인 실증과정을 거쳐 실용화에 성공함으로써 콤팩트한 고효율 수산화마그네슘 배연탈황공정 기술을 확보…
2008.12.23
고온건식 탈황기술은 국내 IGCC 도입 시 청정 신발전에 적용하여 발전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IGCC 세계 시장에 진출하여 2012년 예상되는 6조 5,000…
2008.12.23
KIER에서 개발된 가압유동층 연소기술은 가압상태에서 석탄을 연소할 경우 같은 보일러 체적에 대해 압력만큼 산소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석탄 처리용량이 그만…
2008.12.23
풍부한 매장량, 낮은 지역편재성, 저렴한 비용 등의 장점을 두루 갖춘 석탄은 석유의 고갈에 대비한 유일한 화석에너지원으로서 가능성이 풍부함에도 1980 년대…
2008.12.23
KIER는 1998년 인체에 유해하고 공해를 유발하는 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500N㎥/hr 처리 규모의 중소형흡착농축장치의 개발에 착수했다. KIE…
2008.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