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생활속 과학이야기]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은 인류의 체질 개선

  • 작성일 2020.07.13
  • 조회수 25924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


인류는 산업혁명을 통해 이전에 누려보지 못한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게 됐지만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라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석탄과 석유와 같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바탕으로 경제는 크게 성장했지만 마치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먹고 몸집이 커진 아이처럼 건강하지 못한 상태가 된 것입니다. 그래서 이제는 체질 개선에 나서야 할 때이고, 그 일환으로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이 시작됐습니다. 19세기 후반에 개발돼 현재까지 거대 산업으로 발전한 엔진 자동차가 친환경 자동차에 의해 대체되고 있습니다. 친환경 자동차가 활성화된 배경에는 여러 관련 산업들의 발달이 있었습니다. 리튬이온전지 산업이 발달하고, 전기 인프라가 구축되고, 수소생산 및 충전시스템이 보급되고, 연료전지 산업이 발달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어떤 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여러 산업이 함께 발달해야 합니다.


엔진 자동차 산업도 마찬가지였습니다. 1876년 오토가 휘발유엔진을 개발하고, 1892년 디젤이 디젤엔진을 개발하면서 연소엔진을 이용한 자동차가 개발됐습니다. 엔진기관이 개발되기 조금 전인 1859년에 드레이크가 30배럴의 원유를 채취하는 데 성공하고, 이후 록펠러가 대량의 원류를 정제하기 시작하면서 석유에너지 시대가 열립니다. 엔진산업과 오일산업이 조화를 이뤄 함께 발전한 것이죠. 이렇게 시작된 석유 에너지 시대는 현재까지 이어져 엔진이 적용된 수많은 자동차, 선박, 비행기 등이 인류의 경제활동에 근간이 됐습니다. 석유에너지 시대의 문제는 대부분 석유에너지를 연소시켜 발생합니다. 연소반응은 필연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미세먼지를 만듭니다.


친환경 자동차는 연소반응을 이용하지 않고, 보다 효율이 좋은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합니다. 배출가스도 없고, 효율도 좋기 때문에 앞으로는 친환경 자동차의 비율이 좀 더 높아져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사람이 체질 개선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체질 개선을 할 때 먹는 것을 가려 먹고 운동을 병행하듯, 에너지를 가려서 사용하고, 효율이 높은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체질이 개선되면 인류는 보다 건강하고 깨끗한 환경에서 살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기사원문링크 :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430639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4/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바람, 태양으로 '에너지 보물 만드는 현대의 연금술 기대         인류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에너지다. 에너지는 의식주와 같…
2012.10.23
  30% 에너지 절감·25℃ 유지        갈수록 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에너지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과거 ‘일단 아껴쓰자’…
2012.10.18
    새로운 에너지개발 선택이 아닌 운명       에너지는 식량과 더불어 인간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가장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그러나 시간이 갈…
2012.10.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한문희 www.kier.re.kr) 태양광연구단(단장 이정철)은 “PV Value-Chain별 기술혁신을 통한 태양광발전 Grid Parity 달성”이라는 …
2010.10.20
폐식용유의 재활용기술이 개발된다면 바이오디젤 생산원료(식용유)의 수입대체 효과와 함께 폐식용유를 원료로 하는 데 따른 원료비 절감,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2008.12.23
KIER의 연속식 자동화공정의 실증연구사업으로 국내 폐유 재활용업체의 채산성과 안정적 운영기반을 확립하게 되었으며, 석유에너지 수입대체 효과 및 공정대체…
2008.12.23
KIER에서 개발된 연속식 열분해 유화공정은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 등 모든 측면에서 선진국 기술과의 경쟁력을 충분히 갖추었으며, 국내의 열악한 기술 및 설…
2008.12.23
KIER는 단계적인 실험을 통해 얻은 설계 데이터를 단계적인 실증과정을 거쳐 실용화에 성공함으로써 콤팩트한 고효율 수산화마그네슘 배연탈황공정 기술을 확보…
2008.12.23
고온건식 탈황기술은 국내 IGCC 도입 시 청정 신발전에 적용하여 발전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IGCC 세계 시장에 진출하여 2012년 예상되는 6조 5,000…
2008.12.23
KIER에서 개발된 가압유동층 연소기술은 가압상태에서 석탄을 연소할 경우 같은 보일러 체적에 대해 압력만큼 산소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석탄 처리용량이 그만…
2008.12.23
풍부한 매장량, 낮은 지역편재성, 저렴한 비용 등의 장점을 두루 갖춘 석탄은 석유의 고갈에 대비한 유일한 화석에너지원으로서 가능성이 풍부함에도 1980 년대…
2008.12.23
KIER는 1998년 인체에 유해하고 공해를 유발하는 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500N㎥/hr 처리 규모의 중소형흡착농축장치의 개발에 착수했다. KIE…
2008.12.23
이소부탄이 99.5% 정도의 순도로 상품화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다단 증류탑을 사용하여 접촉 수소화 반응, 증류, 필터 등 여러 단계의 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
2008.12.23
히트싱크용 히트파이프 기술은 2000년 과학기술부의 국가지정연구실 사업으로 선정되었고, KIER가 이를 수행하게 되었다. 2005년까지 수행된 이 사업을 통해 KI…
2008.12.23
2003년에는 1.6V/4000F급 전기화학 축전기 실증 연구를 통하여 차세대형 고출력 축전기 기술이 확보되었으며, 이는 풍력발전 시스템, 태양광 발전 시스템뿐만 …
2008.12.23
KIER는 국내 최초로 55kW급의 마이크로터빈 젠셋에 부합되는 온수발생장치와 냉수발생장치를 개발하여 큰 기대와 호응을 받았으며, 2단계로 마이크로터빈 열병…
2008.12.23
2005년 말 우리나라에 보급되어 있는 총 신호등은 약 125만개이며, 이중 21% 인 26만등이 LED 신호등으로 교체되어 연간 68GWH의 전기에너지 절약과 CO2 배출 3…
2008.12.23
향후 본 연구는 태양광발전기술과 전력전자기술을 조합한 종합적인 기술로서 냉방부하에 의한 최대수요전력 증가에 대한 대응책인 부하평준화 기법으로 활용할 …
2008.12.23
2003년 KIER에서 제작한 pin 구조의 다결정 규소 박막 태양전지는 8.5%라는 국내 최고의 변환 효율을 기록했다. 이는 선진 외국의 연구 사례를 뛰어넘는 뛰어난…
2008.12.23
진공기술을 이용해 태양열집열판으로부터의 열손실(전도, 대류)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고효율을 유지하는 태양열 집열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KIER는 단일 진공관형…
2008.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