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바닷물로 전기 만드는 무공해 발전기… "5년내 상용화 가능"

  • 작성일 2020.03.30
  • 조회수 23810

염분차발전 핵심부품 30배 저렴한 것으로 대체
에너지기술연구원, 1㎥ 크기 부품서 20㎾ 생산


[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이 바다의 짠 성분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을 상용화하는데 필요한 부품개발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물 속 염분의 차이를 이용하는 염분차 발전 부품을 기존보다 30배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대체했다. 이를 이용해 3년내 파일럿 발전시설을 만들고 상용화를 준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제주글로벌신재생에너지연구센터에서 염분차 발전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해양융복합연구팀 정남조 박사는 염분차발전 핵심 부품에 백금 대신 이황화몰리브덴을 사용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염분차 발전은 바닷물에서 민물로 염분이 넘어가면서 양이온과 음이온이 서로 이동해 전자를 주고 받는데 이 반응을 유도하는 부품, 즉 촉매의 주재료가 백금이었다. 정남조 박사는 "백금을 이용해 1크기의 부품을 만드는데 300만원이 필요하지만 이황화몰리브덴으로 대체하면 재료값이 10만원도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황화몰리브덴을 사용한 성능 실험 결과 백금과 거의 동등하거나 더 높은 성능을 확인했다.

 

염분차발전의 부품은 양 전극과 분리막 등으로 이뤄졌는데 연구팀이 1크기로 만들어 전력을 생산한 결과 3W정도 나온다. 정 박사는 염분차발전이 12W 이상이면 경제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최적화 시켜 층층이 쌓아 1크기의 부품으로 만들면 현재 10~20의 전력이 생산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남조 박사 해양융복합연구팀이 제주글로벌신재생에너지연구센터의 염분차 발전 실험 설비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남조 박사 해양융복합연구팀이 제주글로벌신재생에너지연구센터의 염분차 발전 실험 설비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정 박사는 단독 발전시설로 만들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일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해수담수화 설비처럼 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야 한다. 이물질이 발전부품 속 분리막이나 전극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발전시설은 큰 설비를 건설해야 해 토목비용도 만만치 않다. 이 비용을 상쇄할 수 있는 방법은 다른 시설과 함께 연계하는 것이다. 염분차발전은 염분의 농도가 크며 클수록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국내 대형 공장에서 나오는 폐염수다. 공장에서 나오는 폐염수는 희석하거나 정화처리를 한 뒤에 버려야 한다. 정 박사는 "정화처리비용이 적지 않아 염분차발전을 적용하면 적절하게 희석이 가능해 산업공정과 연계하면 경제성을 더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네덜란드가 50급 염분차 발전기를 만들어 운용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염분차 발전기는 관람용이라고 보는 것이 무방하다. 실제 가정에 전력을 공급해 사용하려면 최소 급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는 향후 3년내 200급 파일럿 발전시설을 만들어 시험 가동하면 5년내에는 실제 가정에 공급할 수 있는 급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기사원문링크 : https://www.fnnews.com/news/202003291301576181

Print Back

전체 253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 선임연구원]대전 현충원 인근에는 덕명하우스토리 아파트가 있다. 23층짜리 102동은 몇 층일까?6시 내 고향은 몇 …
2020.09.11
1799년 알렉산드로 볼타가 세계 최초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지를 개발한 이후로 19세기에는 망간전지를 비롯해 매우 다양한 전지가 발명됩니다. 그중 하나…
2020.09.07
여러분은 전기차를 타 본 적이 있나요? 어땠나요? 엔진자동차와 많이 다른가요? 요즘 도로에서는 심심치 않게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
2020.08.12
◆ K사이언스의 파워 ② / 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생산유닛 ◆ "이번에 개발한 고순도 수소생산유닛이 국내 수소충전소를 늘리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다." 2…
2020.08.04
에너지연 미세먼지연구단 '친환경 에너지 연구' 기후변화 대응 선봉저급 연료 고품질화해 오염물질↓, 중국·몽골에 기술이전 추진여과집진기 효율 높여 미세먼지…
2020.07.17
인류는 산업혁명을 통해 이전에 누려보지 못한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게 됐지만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라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석탄과 석유와 같은 손쉽…
2020.07.13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삼척 수소에너지 자급 도시 구축도시형 태양광 시설 개발 추진폐플라스틱으로 연료 생산 연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에…
2020.07.01
세계 수소시장은 2017년 약 1,292억달러에서 2050년 약 2조5,000억달러이며 누적 3,0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국내 수소산업의 경우 205…
2020.06.23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해 촉발된 경기침체, 탈세계화, 글로벌 가치사슬의 재편 등 우리는 큰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2020년 현대경제연구원은 글로벌 1…
2020.06.23
육상풍력 발전, 해상 풍력보다 경제성 뛰어나전국 육상풍력 발전사업, 절반가량 규제에 막혀환경·산림정보 등 규제항목 60종 데이터 정리     [앵커]우리…
2020.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