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영하 160도에서 700도까지'···출연연, 中企 에너지 되다

  • 작성일 2020.02.17
  • 조회수 30393


'중소기업 조력자' 출연연 새로운 역할 본보기
中企, 에너지연 플랫폼연구실에 기술 시험 의뢰
3년간 4529건 신청···잠수함·플랜트 등 업종 다양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7pixel, 세로 543pixel


에너지연 플랫폼연구실에 있는 GHP(Guarded Hot Plate) 장비에서 단열 성능 평가가 이뤄진다. <사진=김인한 기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플랫폼연구실. 원통 모형으로 생긴 시험 분석기를 열자, 연구실에 매캐한 냄새가 진동했다. 소재가 열을 잘 견디는지 확인하는 GHP(Guarded Hot Plate) 분석기가 시험을 마친 직후였다. 소재 단열 성능 확인을 위해 온도 대역을 영하 160도에서 최대 700도까지 조절할 수 있는 장비다. 국내에는 3대밖에 없는 장비로, 다수의 중소기업이 시험 분석을 의뢰하고 있다. 잠수함 부품 제조업체, 플랜트 배관 제조 업체 등 기업 면면도 다양하다.

정부출연연구기관 역할 재정립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는 가운데, 에너지연이 중소기업 장비지원 요구에 새로운 본보기가 되고 있다. 출연연이 지닌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중소기업 조력자로 변모하고 나선 것이다. 기업은 기술에 대한 갈증을 풀 수 있고, 출연연은 새 시대에 맞는 역할을 할 수 있어 상호 '윈-윈'이다.

최근 3년간 플랫폼연구실에 기술 시험분석을 의뢰한 기업·기관 건수만 4529건이다. 에너지 환경 기술 관련 연구를 위해 필수적인 시험분석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실제 실험을 모사하는 계산과학을 활용하고 있다. 개발된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공정 설계, 분석도 진행 중이다. GHP는 그중 하나로, 다수의 기업이 시험 분석을 의뢰하고 있다.

최승욱 에너지연 플랫폼연구실 선임기술원은 "영하 160도에서 최대 700도까지 고객이 원하는 온도 대역에 맞춰 단열 성능을 측정하는 장비로 국내에선 3대밖에 없다"라며 "국내 첫 장비로 초기에 단열 연구를 하시는 분들이 시험 의뢰를 해서 결과를 가져갔고, 지금까지 거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GHP는 열이 뜨거운 곳에서 차가운 곳으로 이동하는 특성을 활용한다. 장비 내부에 플레이트(받침대)가 3개가 있는데, 가운데 플레이트가 기준이 된다. 예컨대, 중간 플레이트 온도를 200도로 설정하면 위·아래 플레이트 온도는 180도를 설정하고, 열의 이동을 만든다. 열 전달·대류·복사 과정에서 제품의 소재가 열을 잘 견디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계산과학을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 국방·에너지 기업도 에너지연과 적극 호흡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7pixel, 세로 373pixel

최승욱 선임기술원(우)과 김예진 선임기술원(좌)이 GHP 장비의 메커니즘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김인한 기자>


경남 밀양에 있는 조선기자재 제조업체 삼건세기는 지난해 에너지연 GHP 분석 의뢰만 11번 했다. 삼건세기는 국내에선 처음으로 폴리우레탄(PUR·Polyurethane)을 활용해 잠수함 단열재를 만들었다. 개발한 단열재는 잠수함 배터리에 연결되는 배관을 감싸는 데 활용된다. 잠수함은 심해에서 극저온 환경에 직면하기 때문에 배관 단열이 필수적이다. 이에 삼건세기는 해외에 의존하던 기술을 대우조선해양과 공동 연구개발해 국산화에 성공했다.

박환성 삼건세기 상무는 "기술을 국산화했다고 하더라도, 단열 시험 테스트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납품 자체가 안 된다"면서 "3년 동안 기술개발한 결과를 에너지연에서 빠르게 전달해줘서 큰 도움이 됐다"고 언급했다.

에너지연은 지역 기업과도 호흡하고 있다. 충남 천안시 소재 아마쎌지오스에어로젤스는 플랜트(공장)에서 사용하는 고온 파이프를 감싸는 단열재를 생산한다. 차세대 신소재인 에어로젤은 열에 강해 단열 성능이 좋다. 이를 활용해 플랜트 파이프 단열재를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에너지연 GHP 분석기를 활용했다.

이문형 아마쎌지오스에어로젤스 연구개발과장은 "단열재를 만드는 과정에서 에어로젤뿐만 아니라 기타 첨가제가 들어간다"면서 "온도 영역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레시피 별로 단열 성능이 어떤 퍼포먼스를 보이는지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 "기업의 기술한계 해결하는 동반자···언제든 문 두드려 달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7pixel, 세로 453pixel

왼쪽부터 김덕환 에너지연 플랫폼연구실 실장과 최승욱 플랫폼연구실 선임기술원. GHP 분석기 앞에서 정전기 방지용 작업복을 입고 있다. <사진=김인한 기자>


에너지연은 정부의 '연구기반 공동 활용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해당 사업은 출연연 연구 장비를 활용하려는 기업이 이용료 3을 부담하면, 나머지 7을 중소벤처기업부가 부담하는 제도다. 출연연과 기업 협업을 극대화하겠다는 취지다.

최승욱 에너지연 선임기술원은 "에너지연 기술을 신뢰해 기업에서 먼저 협업하자고 제안할 때, 연구자로서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다"라며 "오픈 마인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언제든 문을 두드려 달라"고 말했다.

김덕환 에너지연 플랫폼연구실장은 "연구실 비전은 연구자들이 협업하는 문화를 저희가 만들어주는 것"이라며 "연구자별로 성향이 달라서 협업하라고 하면 잘 안 될 수 있지만, 이런 연구장비를 쓸 수 있는 플랫폼이 있으면 수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실장은 "연구자들이 연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기업의 애로 기술을 해결해주는 연구실로 거듭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현장에 있는 기업 관계자들은 향후 '연구기반 공동 활용 사업'을 추진하는 행정 절차가 간소화되면 제도의 효용성과 가치가 올라갈 것이라고 조언했다. 



기사원문링크 : https://www.hellodd.com/?md=news&mt=view&pid=71039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4/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바람, 태양으로 '에너지 보물 만드는 현대의 연금술 기대         인류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에너지다. 에너지는 의식주와 같…
2012.10.23
  30% 에너지 절감·25℃ 유지        갈수록 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에너지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과거 ‘일단 아껴쓰자’…
2012.10.18
    새로운 에너지개발 선택이 아닌 운명       에너지는 식량과 더불어 인간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가장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그러나 시간이 갈…
2012.10.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한문희 www.kier.re.kr) 태양광연구단(단장 이정철)은 “PV Value-Chain별 기술혁신을 통한 태양광발전 Grid Parity 달성”이라는 …
2010.10.20
폐식용유의 재활용기술이 개발된다면 바이오디젤 생산원료(식용유)의 수입대체 효과와 함께 폐식용유를 원료로 하는 데 따른 원료비 절감,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2008.12.23
KIER의 연속식 자동화공정의 실증연구사업으로 국내 폐유 재활용업체의 채산성과 안정적 운영기반을 확립하게 되었으며, 석유에너지 수입대체 효과 및 공정대체…
2008.12.23
KIER에서 개발된 연속식 열분해 유화공정은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 등 모든 측면에서 선진국 기술과의 경쟁력을 충분히 갖추었으며, 국내의 열악한 기술 및 설…
2008.12.23
KIER는 단계적인 실험을 통해 얻은 설계 데이터를 단계적인 실증과정을 거쳐 실용화에 성공함으로써 콤팩트한 고효율 수산화마그네슘 배연탈황공정 기술을 확보…
2008.12.23
고온건식 탈황기술은 국내 IGCC 도입 시 청정 신발전에 적용하여 발전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IGCC 세계 시장에 진출하여 2012년 예상되는 6조 5,000…
2008.12.23
KIER에서 개발된 가압유동층 연소기술은 가압상태에서 석탄을 연소할 경우 같은 보일러 체적에 대해 압력만큼 산소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석탄 처리용량이 그만…
2008.12.23
풍부한 매장량, 낮은 지역편재성, 저렴한 비용 등의 장점을 두루 갖춘 석탄은 석유의 고갈에 대비한 유일한 화석에너지원으로서 가능성이 풍부함에도 1980 년대…
2008.12.23
KIER는 1998년 인체에 유해하고 공해를 유발하는 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500N㎥/hr 처리 규모의 중소형흡착농축장치의 개발에 착수했다. KIE…
2008.12.23
이소부탄이 99.5% 정도의 순도로 상품화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다단 증류탑을 사용하여 접촉 수소화 반응, 증류, 필터 등 여러 단계의 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
2008.12.23
히트싱크용 히트파이프 기술은 2000년 과학기술부의 국가지정연구실 사업으로 선정되었고, KIER가 이를 수행하게 되었다. 2005년까지 수행된 이 사업을 통해 KI…
2008.12.23
2003년에는 1.6V/4000F급 전기화학 축전기 실증 연구를 통하여 차세대형 고출력 축전기 기술이 확보되었으며, 이는 풍력발전 시스템, 태양광 발전 시스템뿐만 …
2008.12.23
KIER는 국내 최초로 55kW급의 마이크로터빈 젠셋에 부합되는 온수발생장치와 냉수발생장치를 개발하여 큰 기대와 호응을 받았으며, 2단계로 마이크로터빈 열병…
2008.12.23
2005년 말 우리나라에 보급되어 있는 총 신호등은 약 125만개이며, 이중 21% 인 26만등이 LED 신호등으로 교체되어 연간 68GWH의 전기에너지 절약과 CO2 배출 3…
2008.12.23
향후 본 연구는 태양광발전기술과 전력전자기술을 조합한 종합적인 기술로서 냉방부하에 의한 최대수요전력 증가에 대한 대응책인 부하평준화 기법으로 활용할 …
2008.12.23
2003년 KIER에서 제작한 pin 구조의 다결정 규소 박막 태양전지는 8.5%라는 국내 최고의 변환 효율을 기록했다. 이는 선진 외국의 연구 사례를 뛰어넘는 뛰어난…
2008.12.23
진공기술을 이용해 태양열집열판으로부터의 열손실(전도, 대류)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고효율을 유지하는 태양열 집열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KIER는 단일 진공관형…
2008.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