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폐유의 고부가가치화 실현한 경유대체연료유 생산공정 개발

  • 작성일 2008.12.23
  • 조회수 48079

KIER의 연속식 자동화공정의 실증연구사업으로 국내 폐유 재활용업체의 채산성과 안정적 운영기반을 확립하게 되었으며, 석유에너지 수입대체 효과 및 공정대체 효과를 거두었다. 또한 신공정 개발로 플랜트 엔지니어링 설계기술의 후발국으로의 수출 및 이에 따른 외화가득이 가능해졌다.

■ 폐유 재활용 기술의 높은 잠재력

유해성 지정폐기물인 폐유(waste oil)는 윤활유의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화, 분해되거나, 오염물질의 혼입에 의하여 성능이 떨어져 발생된다. 주 배출원은 자동차, 선박, 1차금속 및 조립금속, 기계장비공업 등이며 발생량은 판매량의 70%정도로 알려져 있다. 폐윤활유는 유통체계가 비교적 잘 정비되어 있어서 수거가 용이하고 재활용에 따른 부가가치가 높은 폐자원이다.

폐유는 오일의 성상측면에서 중질유분(b.p. : 320 - 590 oC)임 과 동시에 첨가제의 열화 및 엔진의 마모에 따라 중금속, 회재, 수분 및 황성분 등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폐유의 주성분인 윤활기유(base oil)는 주로 파라핀계 및 나프텐계로서 수소/탄소-비가 거의 2에 이른다. 이는 일반적인 고급연료유의 수소/탄소-비가 1.5~1.8 정도임을 감안할 때 고비점 성분의 분해도 촉진 및 효율적인 자체 수소 재분배에 의하여 간단히 경질 연료유로 전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폐윤활유가 갖고 있는 높은 열량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폐윤활유를 품질기준에 맞도록 재생 연료유로 정제 처리하는 것이 필요한데, 폐윤활유를 연료유로 재생 이용하는 데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중금속과 회분이므로 일차적으로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 자세한 내용은 eBook 또는 PDF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3/15

전체 2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해양에너지연구로 자원빈국 해결책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글로벌연구센터는 새로운 화두로 떠오른 해양기반 신재생에너지, …
2015.04.27
  인류 고민 '해수담수화' 기술 상용화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하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의 전경. 사진=한국에너지…
2015.04.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은 어떤 곳인가…      ● 과학·정보통신의날 특집-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1977년 한국열관리시험연구…
2015.04.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착한 CO2 에너지 강국 ON     ● 과학·정보통신의날 특집-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에너지기술연구원 전경 한국에너지기술연…
2015.04.27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든 CO2포집기술…세계가 '주목'     [머니투데이 대전=허재구 기자] [[R&D현장]상용화 추진으로 해외시장 선점 '박차'] KIERSO…
2015.04.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1977년 설립된 전국민 에너지 닥터     국내 최고의 효율 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박막 태양전지, 독일 패시브하우스…
2014.06.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 “에너지 혁신기술 보급     “국가 성장엔진, 힘껏 돌리겠다”이기우 원장 프로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1977…
2014.06.23
    [기획] 대한민국 에너지기술 수준 앞당긴다     [에너지신문] 우리나라의 산업기술들은 날이 갈수록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분야도…
2014.06.09
[상상·도전·융합 이끄는 출연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내년에는 모든 연구원들이 1개 기업 이상에 대해 에너지닥터(Energy-doctor)로 나설 수 있도…
2014.05.13
연구개발서 자금확보·기술사업화까지 패키지 지원   한국에너지기기술연구원은 최근 중소기업에 대한 풀 패키지 지원을 투입하는 등 기술이전에도 적극적…
2014.05.13
창조경제 성장엔진,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가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과학계의 화두는 단연 창조경제다. 특히, 창조경제의 성장엔진 창출이라는 구체…
2014.05.13
  미래 옥석 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구슬은 꿰야 보배다. 기술도 마찬가지다. 시간·인원·비용을 투자해 개발한 기술은 유용하게 활용해야 보배로 재…
2013.12.13
미래에너지기술 사업화 기회 ‘여기에’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최신 에너지기술을 공유하고 현장에서 기술이전을 타진하는 자리가 마련된다.한국에…
2013.12.13
  숨은 에너지기술 진주 찾는다         미래 에너지산업을 이끌 신재생 에너지기술을 소개하고 사업화를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
2013.12.13
    에너지 위기...에너지효율로 극복         [앵커] ‘에너지 위기’시리즈, 마지막 시간입니다. 미국은 에너지 최대 소비국이면서 최대 강국입니다. 에너지…
2013.08.21
    에너지 위기...국제교류 강화         [앵커] 화석연료 고갈로 예견되는 '에너지 위기' 기획시리즈, 두 번째 시간입니다. 에너지 분야의 첨단기술과 신…
2013.08.20
      에너지 위기...선진국 시장 개척          [앵커] 폭염으로 하루하루가 위태로운 전력난을 맞고 있는 요즘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에너…
2013.08.16
    버려지는 부생수소 붙잡아 연료로 단가 낮춘 태양전지 소재개발 열중           울산은 우리나라 최대의 공업도시이자 에너지 집적 도시다.   이 곳에는 …
2012.10.24
    수소연료전지개발 세계 3번째 규모 최고 효율성 수소연료 상용화 온 힘            세상의 에너지 흐름이 변하고 있다. 특히 산업혁명 이후 인류의 가장 …
2012.10.24
  제주 바닷바람 맞으며 '에너지 大國 신바람'         수려한 자연 경관과 깨끗한 환경으로 연중 관광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제주도. 많은 사람들이 …
2012.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