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열전달 기술의 선진화 시현한 히트파이프식 열교환기 개발

  • 작성일 2008.12.23
  • 조회수 48025

히트싱크용 히트파이프 기술은 2000년 과학기술부의 국가지정연구실 사업으로 선정되었고, KIER가 이를 수행하게 되었다. 2005년까지 수행된 이 사업을 통해 KIER는 열발생부위와 냉각부위를 분리시킨 루프히트파이프 기술 개발, 열량변화에도 냉각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변전열 윅히트파이프 기술개발에 잇달아 성공하며 우리나라 히트파이프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켰다.

■ 히트파이프 연구의 시대적 대두

히트파이프(heat pipe)는 파이프를 통해 열을 전달하는 요소기술이다. 파이프와 같은 용기 내부를 진공으로 하여 작동 유체를 주입하면 낮은 온도에서도 작동유체는 증발하여 잠열에 의해 열을 전달하게 된다.

히트파이프 기술은 무중력상태에서 이용되는 우주용 전자부품을 냉각하기 위해 1950년대에 미국에서 개발되었다. 1960년대에는 소련, 유럽 등 우주개발의 선두국가들도 히트파이프 기술을 국책 전략과제로 선정하고 연구개발을 추진했다.

이후 지상용으로 응용이 되면서 에너지 회수 및 각종 냉각장치의 고성능화기술로 급속히 사용되기 시작했고, 국내에서는 1970년대에 산업분야 배가스열의 회수를 위해 히트파이프 연구가 시작되었다. 국가 차원의 계획은 아직 수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책연구소를 중심으로 연구가 시도되었는데, 이 시기에는 실질적인 연구로는 이어지지 못했다. 1980년대가 되면 히트파이프 기술은 반도체 등 첨단 전자부품의 온도제어에 응용되면서 민수용 산업에 접목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기술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했고 일부 대학과 국책연구소들을 중심으로 기초연구가 활기를 띠게 되었다.

1987년에는 KIER도 히트파이프 연구에 착수했다. 이로부터 폐열회수용 히트파이프 기술, 냉각용 히트파이프 기술, 히트파이프 응용기술을 대상으로 약 17개의 연구과제가 수행되었다.

※ 자세한 내용은 eBook 또는 PDF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Print Back

페이지 13/15

전체 284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인류 고민 '해수담수화' 기술 상용화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하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의 전경. 사진=한국에너지…
2015.04.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은 어떤 곳인가…      ● 과학·정보통신의날 특집-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1977년 한국열관리시험연구…
2015.04.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착한 CO2 에너지 강국 ON     ● 과학·정보통신의날 특집-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에너지기술연구원 전경 한국에너지기술연…
2015.04.27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든 CO2포집기술…세계가 '주목'     [머니투데이 대전=허재구 기자] [[R&D현장]상용화 추진으로 해외시장 선점 '박차'] KIERSO…
2015.04.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1977년 설립된 전국민 에너지 닥터     국내 최고의 효율 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박막 태양전지, 독일 패시브하우스…
2014.06.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 “에너지 혁신기술 보급     “국가 성장엔진, 힘껏 돌리겠다”이기우 원장 프로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1977…
2014.06.23
    [기획] 대한민국 에너지기술 수준 앞당긴다     [에너지신문] 우리나라의 산업기술들은 날이 갈수록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분야도…
2014.06.09
[상상·도전·융합 이끄는 출연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내년에는 모든 연구원들이 1개 기업 이상에 대해 에너지닥터(Energy-doctor)로 나설 수 있도…
2014.05.13
연구개발서 자금확보·기술사업화까지 패키지 지원   한국에너지기기술연구원은 최근 중소기업에 대한 풀 패키지 지원을 투입하는 등 기술이전에도 적극적…
2014.05.13
창조경제 성장엔진,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가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과학계의 화두는 단연 창조경제다. 특히, 창조경제의 성장엔진 창출이라는 구체…
2014.05.13
  미래 옥석 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구슬은 꿰야 보배다. 기술도 마찬가지다. 시간·인원·비용을 투자해 개발한 기술은 유용하게 활용해야 보배로 재…
2013.12.13
미래에너지기술 사업화 기회 ‘여기에’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최신 에너지기술을 공유하고 현장에서 기술이전을 타진하는 자리가 마련된다.한국에…
2013.12.13
  숨은 에너지기술 진주 찾는다         미래 에너지산업을 이끌 신재생 에너지기술을 소개하고 사업화를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
2013.12.13
    에너지 위기...에너지효율로 극복         [앵커] ‘에너지 위기’시리즈, 마지막 시간입니다. 미국은 에너지 최대 소비국이면서 최대 강국입니다. 에너지…
2013.08.21
    에너지 위기...국제교류 강화         [앵커] 화석연료 고갈로 예견되는 '에너지 위기' 기획시리즈, 두 번째 시간입니다. 에너지 분야의 첨단기술과 신…
2013.08.20
      에너지 위기...선진국 시장 개척          [앵커] 폭염으로 하루하루가 위태로운 전력난을 맞고 있는 요즘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에너…
2013.08.16
    버려지는 부생수소 붙잡아 연료로 단가 낮춘 태양전지 소재개발 열중           울산은 우리나라 최대의 공업도시이자 에너지 집적 도시다.   이 곳에는 …
2012.10.24
    수소연료전지개발 세계 3번째 규모 최고 효율성 수소연료 상용화 온 힘            세상의 에너지 흐름이 변하고 있다. 특히 산업혁명 이후 인류의 가장 …
2012.10.24
  제주 바닷바람 맞으며 '에너지 大國 신바람'         수려한 자연 경관과 깨끗한 환경으로 연중 관광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제주도. 많은 사람들이 …
2012.10.23
    바람, 태양으로 '에너지 보물 만드는 현대의 연금술 기대         인류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에너지다. 에너지는 의식주와 같…
2012.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