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고효율 미래 전원시스템, 분산형 열병합발전 시스템 국산화 실현

  • 작성일 2008.12.23
  • 조회수 44558

KIER는 국내 최초로 55kW급의 마이크로터빈 젠셋에 부합되는 온수발생장치와 냉수발생장치를 개발하여 큰 기대와 호응을 받았으며, 2단계로 마이크로터빈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현장 실증 시험 업무를 주관하고 있다.

■ 국내 최초 단위 건물용 열병합발전 시스템 개발(1988~1911)

분산형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단위건물(아파트단지, 병원, 호텔, 업무용 빌딩 등), 혹은 도시의 한 블록(10,000kW 이하) 규모에 전기와 냉난방 열을 On-site에서 동시 공급함으로써 열과 전기의 수송에 따른 손실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차세대 전원시스템이다.

KIER는 1988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자동차용 가스엔진을 이용한 단위건물용 열병합발전(Cogeneration) 시스템의 개발에 착수했으며, 2년여의 개발기간을 거쳐 1990년 대전의 백운장(여관목욕탕)에 시제품을 설치했다. 이후 6개월 이상 실증 운전을 통해 1991년에는 LPG를 연료로 발전용량 20kW, 열용량 26,400kcal/h의 성능 실현과 함께 발전효율 27.7%, 열효율 47%, 종합효율 74.7%를 획득함으로써 효율성 및 에너지절약성을 입증했다.

이 연구는 자켓수 열교환기, 배가스 열교환기 등을 갖추고 연속 운전이 가능한 국산 1호로서 방음.방진 인클로우저를 이용한 패키지 시스템을 현장에 실증 시범한 사례였다.

1992년에는 금성전선(주)과 공동으로 열병합발전을 이용한 T.E.S의 개발에 착수하여 이듬해인 1993년 미국 커민스사의 디젤엔진을 이용한 경유를 연료로 하는 전기출력 135kW, 열출력 130,000kcal/h의 시스템을 개발하고 LG그룹 내의 골프장에서 설치운전을 수행했다.

1993년에는 초에너지절약형 건물 기술개발 및 시범화 사업을 1998년까지 진행했으며, KIER 내에 건설된 초에너지절약형 건물에 소형열병합발전이 적용되어 설치 운영되었다. 일본 (주)금문(KIMMON)제작사에서 제작된 이 소형열병합발전 시스템은 전기출력이 36kW, 열출력이 63,000kcal/h였으며, 발전효율 27.6%, 열효율 56.1%, 종합효율이 83.7%였다.

1996년에는 금성전선(주)과 함께 미국의 FORD자동차 엔진을 이용한 전기출력 23kW, 열출력 54,000kcal/h를 제작하고 두대의 병렬운전을 시도하여 가능성을 확인했으나, 가장 중요한 원동기인 가스엔진이 국산화가 안 된 상태여서 외국제품과 견줄 수 있는 고효율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 자세한 내용은 eBook 또는 PDF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Print Back

페이지 13/14

전체 270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에너지 위기...국제교류 강화         [앵커] 화석연료 고갈로 예견되는 '에너지 위기' 기획시리즈, 두 번째 시간입니다. 에너지 분야의 첨단기술과 신…
2013.08.20
      에너지 위기...선진국 시장 개척          [앵커] 폭염으로 하루하루가 위태로운 전력난을 맞고 있는 요즘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에너…
2013.08.16
    버려지는 부생수소 붙잡아 연료로 단가 낮춘 태양전지 소재개발 열중           울산은 우리나라 최대의 공업도시이자 에너지 집적 도시다.   이 곳에는 …
2012.10.24
    수소연료전지개발 세계 3번째 규모 최고 효율성 수소연료 상용화 온 힘            세상의 에너지 흐름이 변하고 있다. 특히 산업혁명 이후 인류의 가장 …
2012.10.24
  제주 바닷바람 맞으며 '에너지 大國 신바람'         수려한 자연 경관과 깨끗한 환경으로 연중 관광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제주도. 많은 사람들이 …
2012.10.23
    바람, 태양으로 '에너지 보물 만드는 현대의 연금술 기대         인류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에너지다. 에너지는 의식주와 같…
2012.10.23
  30% 에너지 절감·25℃ 유지        갈수록 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에너지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과거 ‘일단 아껴쓰자’…
2012.10.18
    새로운 에너지개발 선택이 아닌 운명       에너지는 식량과 더불어 인간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가장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그러나 시간이 갈…
2012.10.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한문희 www.kier.re.kr) 태양광연구단(단장 이정철)은 “PV Value-Chain별 기술혁신을 통한 태양광발전 Grid Parity 달성”이라는 …
2010.10.20
폐식용유의 재활용기술이 개발된다면 바이오디젤 생산원료(식용유)의 수입대체 효과와 함께 폐식용유를 원료로 하는 데 따른 원료비 절감,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2008.12.23
KIER의 연속식 자동화공정의 실증연구사업으로 국내 폐유 재활용업체의 채산성과 안정적 운영기반을 확립하게 되었으며, 석유에너지 수입대체 효과 및 공정대체…
2008.12.23
KIER에서 개발된 연속식 열분해 유화공정은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 등 모든 측면에서 선진국 기술과의 경쟁력을 충분히 갖추었으며, 국내의 열악한 기술 및 설…
2008.12.23
KIER는 단계적인 실험을 통해 얻은 설계 데이터를 단계적인 실증과정을 거쳐 실용화에 성공함으로써 콤팩트한 고효율 수산화마그네슘 배연탈황공정 기술을 확보…
2008.12.23
고온건식 탈황기술은 국내 IGCC 도입 시 청정 신발전에 적용하여 발전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IGCC 세계 시장에 진출하여 2012년 예상되는 6조 5,000…
2008.12.23
KIER에서 개발된 가압유동층 연소기술은 가압상태에서 석탄을 연소할 경우 같은 보일러 체적에 대해 압력만큼 산소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석탄 처리용량이 그만…
2008.12.23
풍부한 매장량, 낮은 지역편재성, 저렴한 비용 등의 장점을 두루 갖춘 석탄은 석유의 고갈에 대비한 유일한 화석에너지원으로서 가능성이 풍부함에도 1980 년대…
2008.12.23
KIER는 1998년 인체에 유해하고 공해를 유발하는 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500N㎥/hr 처리 규모의 중소형흡착농축장치의 개발에 착수했다. KIE…
2008.12.23
이소부탄이 99.5% 정도의 순도로 상품화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다단 증류탑을 사용하여 접촉 수소화 반응, 증류, 필터 등 여러 단계의 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
2008.12.23
히트싱크용 히트파이프 기술은 2000년 과학기술부의 국가지정연구실 사업으로 선정되었고, KIER가 이를 수행하게 되었다. 2005년까지 수행된 이 사업을 통해 KI…
2008.12.23
2003년에는 1.6V/4000F급 전기화학 축전기 실증 연구를 통하여 차세대형 고출력 축전기 기술이 확보되었으며, 이는 풍력발전 시스템, 태양광 발전 시스템뿐만 …
2008.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