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에너지연, 3025 프로젝트_충청투데이

  • 작성일 2012.10.18
  • 조회수 54834

 

30% 에너지 절감·25℃ 유지

 

 


 

 

  

갈수록 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에너지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과거 ‘일단 아껴쓰자’라는 관념에서 ‘효율적으로 쓰자’로, 다시 ‘효율적으로 나눠쓰자’로 그 개념이 발전하고 있다.

 

올 여름 우리나라는 사상 초유의 전기 부족 상태인 ‘블랙아웃’ 현상에 직면하며 국가 에너지 문제를 되짚었다. 이번 사태에서 보듯 문제는 평균적인 에너지 공급량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총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하는 것이다.

 

이는 새로운 에너지원의 마련에 앞서 기존 에너지의 효율적 배분, 즉 나눠쓰는 것만으로도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다.

 

특히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이 올해부터 3년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는 ‘3025 프로젝트’는 전기와 열에너지를 동시에 관리하는 에너지 융복합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다.

 

3025란 30%의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실내 온도는 항상 25℃를 유지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적용 규모는 대략 블럭 단위인데, 이 안에 있는 각각의 건물에 필요한 전기와 열에너지를 통합관리해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최적화 한다는 개념이다.

 

보일러, 전기, 태양열, 지열 등 각각의 건물이 갖는 각종 열원을 네트워킹을 통해 전체로 통합 관리해 시간대별, 구성별로 에너지를 필요한 건물에 공급하는 것이 그 핵심이다.

 

3025 프로젝트의 핵심은 각각의 건물에 작용하는 각종 에너지원을 통합 관리를 통해 도출된 소요 에너지에 맞춰 공급하는 것으로, 열과 전기를 지속적·효율적으로 공급하는 기술이 총 망라된다. 특히 3025 프로젝트에서는 열에너지의 활용이 중요하다.

 

전기는 사용하는 만큼 변환되지만, 열은 생산하면 마땅한 저장처가 없어 공중으로 날려야 하면서도 생산 비용은 높아 에너지 낭비의 큰 요인으로 꼽힌다.

 

학교, 가정집, 병원, 호텔 등은 각각 에너지 최고 소모 시간대가 다르다. 3025 프로젝트 기술은 에너지를 주로 밤에 사용하는 호텔이 낮에 생산된 잉여 에너지를 학교에 공급하고, 저녁에는 반대로 에너지를 순환시키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각 건물별 에너지 소모율은 물론 각 측별 전열, 조명, 냉난방 계측과 나아가 개인별 에너지 계측까지 마련해 에너지 현황을 데이터화 한다.

 

에너지연은 현재 3025 프로젝트를 본원 건물에 적용해 연구를 진행 중이며, 점차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정대헌 에너지연 에너지효율연구단장은 “3025 프로젝트는 구역 에너지를 전체적으로 나눠 손실을 줄이고 건물별로 설치되는 중복 설비도 방지해 하나로 줄일 수 있다”며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에너지 모델로 시나리오를 만들어 종합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Print Back

페이지 13/15

전체 284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인류 고민 '해수담수화' 기술 상용화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하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의 전경. 사진=한국에너지…
2015.04.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은 어떤 곳인가…      ● 과학·정보통신의날 특집-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1977년 한국열관리시험연구…
2015.04.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착한 CO2 에너지 강국 ON     ● 과학·정보통신의날 특집-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에너지기술연구원 전경 한국에너지기술연…
2015.04.27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든 CO2포집기술…세계가 '주목'     [머니투데이 대전=허재구 기자] [[R&D현장]상용화 추진으로 해외시장 선점 '박차'] KIERSO…
2015.04.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1977년 설립된 전국민 에너지 닥터     국내 최고의 효율 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박막 태양전지, 독일 패시브하우스…
2014.06.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 “에너지 혁신기술 보급     “국가 성장엔진, 힘껏 돌리겠다”이기우 원장 프로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1977…
2014.06.23
    [기획] 대한민국 에너지기술 수준 앞당긴다     [에너지신문] 우리나라의 산업기술들은 날이 갈수록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분야도…
2014.06.09
[상상·도전·융합 이끄는 출연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내년에는 모든 연구원들이 1개 기업 이상에 대해 에너지닥터(Energy-doctor)로 나설 수 있도…
2014.05.13
연구개발서 자금확보·기술사업화까지 패키지 지원   한국에너지기기술연구원은 최근 중소기업에 대한 풀 패키지 지원을 투입하는 등 기술이전에도 적극적…
2014.05.13
창조경제 성장엔진,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가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과학계의 화두는 단연 창조경제다. 특히, 창조경제의 성장엔진 창출이라는 구체…
2014.05.13
  미래 옥석 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구슬은 꿰야 보배다. 기술도 마찬가지다. 시간·인원·비용을 투자해 개발한 기술은 유용하게 활용해야 보배로 재…
2013.12.13
미래에너지기술 사업화 기회 ‘여기에’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최신 에너지기술을 공유하고 현장에서 기술이전을 타진하는 자리가 마련된다.한국에…
2013.12.13
  숨은 에너지기술 진주 찾는다         미래 에너지산업을 이끌 신재생 에너지기술을 소개하고 사업화를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
2013.12.13
    에너지 위기...에너지효율로 극복         [앵커] ‘에너지 위기’시리즈, 마지막 시간입니다. 미국은 에너지 최대 소비국이면서 최대 강국입니다. 에너지…
2013.08.21
    에너지 위기...국제교류 강화         [앵커] 화석연료 고갈로 예견되는 '에너지 위기' 기획시리즈, 두 번째 시간입니다. 에너지 분야의 첨단기술과 신…
2013.08.20
      에너지 위기...선진국 시장 개척          [앵커] 폭염으로 하루하루가 위태로운 전력난을 맞고 있는 요즘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에너…
2013.08.16
    버려지는 부생수소 붙잡아 연료로 단가 낮춘 태양전지 소재개발 열중           울산은 우리나라 최대의 공업도시이자 에너지 집적 도시다.   이 곳에는 …
2012.10.24
    수소연료전지개발 세계 3번째 규모 최고 효율성 수소연료 상용화 온 힘            세상의 에너지 흐름이 변하고 있다. 특히 산업혁명 이후 인류의 가장 …
2012.10.24
  제주 바닷바람 맞으며 '에너지 大國 신바람'         수려한 자연 경관과 깨끗한 환경으로 연중 관광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제주도. 많은 사람들이 …
2012.10.23
    바람, 태양으로 '에너지 보물 만드는 현대의 연금술 기대         인류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에너지다. 에너지는 의식주와 같…
2012.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