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리뷰] 전자노트 작성을 통해 연구의 품질을 높이자
배다리, 기중기 등을 발명한 조선시대 실학자이자 과학기술인이었던 정약용 선생은 둔필승총(鈍筆勝聰)이라는 말씀을 남겼다. '둔한 붓이 총명함을 이긴다'는 것이다. 제 아무리 똑똑한 사람이라도 열심히 기록하는 사람이 더 낫다는 뜻으로 기록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기록은 일상 생활에서도 번득이는 생각을 잊지 않기 위해 중요하지만, 문제해결을 위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내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는 과학기술분야에서 더욱 중요해진다.
과학기술분야의 연구과정에서의 기록은 연구노트로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연구노트는 연구자가 연구수행의 시작부터 연구개발 결과물의 보고, 발표 또는 지식재산권 확보 등에 이르기까지의 연구과정 전체에 대한 연구자의 기록을 의미한다. 즉, 연구과정 중에 발생하는 모든 기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연구노트라 할 수 있다.
정부는 2007년부터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얻은 정보, 데이터, 노하우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연구성과의 지식재산권 보호 및 기술이전 등 사업화의 활용도 높이고자하는 목적으로 연구노트 작성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출연연구소를 비롯한 모든 연구수행기관에서 연구자들이 연구노트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연구노트 도입 초기에는 연구내용을 공책에 수기로 기록하는 서면 연구노트를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연구데이터가 방대해지고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시뮬레이션이 일상화된 최근의 연구환경에서 수기로 작성하는 서면 연구노트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작성된 연구노트 내용에 대한 검색 어려움, 보존 공간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서면 연구노트 보다는 전자문서의 형태로 연구노트를 작성하는 전자연구노트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도 서면 연구노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전자연구노트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전자연구노트 작성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관련 교육, 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전자연구노트 사용 확대를 추진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도입 1년 만에 특허청에서 선정하는 연구노트 활용 및 우수기관에 선정되었으며, 2015년에는 전체 연구원의 86%가 전자연구노트를 사용할 정도로 전자연구노트 작성이 대중화되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2014년 이후 전자연구노트 활용 실적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자연구노트 사용을 통해 연구성과가 좋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과제평가결과가 높은 연구과제일수록 그렇지 않은 연구과제에 비해 전자연구노트를 2.6배 더 사용했으며, 특허를 많이 출원한 연구과제에서 전자연구노트를 약 2.8배 더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식 및 노하우를 전자연구노트로 정리하고 활용함으로써 체계적인 연구 수행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연구성과도 좋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허권 분쟁 및 선발명자 규명을 위해 전자연구노트가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자연구노트가 연구성과의 실용화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연구내용이 전자연구노트 형태로 작성됨에 따라 기록의 보존이 용이해지고 검색 및 활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국가 차원의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에서는 매년 수조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고 연구성과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예산 투자 방향을 전략화 하고, 성실실패 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다양한 고심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연구자들의 전자연구노트를 작성하는 작은 습관이 연구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전자연구노트 활용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이기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
URL : http://www.joongdo.co.kr/jsp/article/article_view.jsp?pq=20160310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