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가축분뇨, 하루 만에 탄소 잡는 바이오 자원으로 바꾼다

  • 작성일 2024.04.25
  • 조회수 83370

- 가축분뇨를 ‘바이오차’로 급속 전환, 탄소중립 실현과 초미세먼지 저감에 기여

- 축산 농가의 골칫거리인 가축분뇨를 하루 만에 처리하는 고효율∙친환경 기술

- 산학연 간 벽을 허무는 기술 융합으로 사회문제 해결의 실마리 제공


초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유발하는 가축분뇨를 하루 만에 탄소 잡는 ‘흑색 금(Black gold)’으로 바꾸는 기술이 개발됐다.

[사진자료] 연구진이 COMB 건조장치에서 시료를 수집하고 있는 모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 대기청정연구실 유지호 박사 연구진이 축산 농가 현장에서 가축분뇨를 바이오차*로 즉시 전환하는 공정을 개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공정을 활용하면 일일 10톤 규모의 가축분뇨를 바이오차로 전환할 수 있다. 

* 바이오차(Biochar): 바이오매스(Biomass)와 숯(Charcoal)의 합성어로, 곡물의 줄기, 동물의 배설물, 음식물 찌꺼기 등의 유기물질을 350도(℃) 이상의 산소가 희박한 조건에서 열분해해 만든 물질. 바이오매스가 토양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 이산화탄소나 메탄의 형태로 대기 중에 배출되는데,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차로 만들면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탄소의 80%를 바이오차 내에 가둘 수 있어 ‘탄소 감옥’으로 불림


□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간 가축분뇨 발생량은 약 5천만 톤이다. 이 중 87%는 장기간 발효해 퇴비, 액비로 활용하는데, 발효되기까지 60일 이상이 소요되며 장기 처리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보다 300배 강한 온실가스인 아산화질소(N2O)가 발생한다. 또, 초미세먼지와 악취의 원인인 암모니아(NH3)도 함께 배출되는데 총량은 국가 전체 배출량의 70%에 달한다. 이로 인한 악취 민원*은 축산농가의 고질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 2021년 전체 악취 민원 23,511건 중 축산 부문이 13,616건으로 전체의 58% 차지(환경부 악취 민원 통계)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바이오차가 주목받고 있다. 가축분뇨를 바이오차로 전환하면 아산화질소와 암모니아 배출을 원천 차단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고 1,000년 이상 가둬놓을 수 있어 축산분야의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이에 정부는 바이오차를 축산분야 탄소중립 핵심기술로 선정하고, ‘축산분야 2030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성장 전략*’을 통해 축산농가의 분뇨처리 개선과 바이오차 이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 축산분야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해 농가에 저감 설비를 보급, 가축분뇨 정화 처리 비중과 에너지 시설을 확충해 2030년에는 축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예상치의 30% (320만 톤)저감 (농림축산식품부, 2024.01.03.)


 연구진이 개발한 MTB* 공정의 핵심은 축분이 지닌 수분을 20% 이하로 줄이기 위한 탈수 기술과 건조 기술이다. 연구진은 에너지연이 보유한 건조 공정, 한국기계연구원의 탈수 공정, ㈜두리테크의 전처리 공정, ㈜유기산업의 열분해 기술을 모두 모아 통합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이용하면 기존 로터리 킬른 방식* 대비 전체 에너지 소비량을 10분의 1 이하로 크게 줄일 수 있다.

* Manure To Biochar: 축산분뇨를 바이오차로 제조하는 탈수-전처리-건조-열분해 통합공정

* 로터리 킬른 방식: 원통을 기울게 설치해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열풍이나 불을 통해 원료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시멘트 공업, 알루미늄 제련 등에 활용됨

[그림자료]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통합된 MTB 공정 개념도


 공정은 한국기계연구원에서 개발한 스크류 유형의 고액 분리기부터 시작된다. 분리기는 탈수 역할을 하며 축분이 지니고 있는 수분을 60% 이하로 낮추는데, 이때 사용되는 에너지는 로터리 킬른 방식 등 열을 이용한 기존 공정 대비 1% 수준에 불과하다. 탈수를 거쳐 덩어리 모양으로 분리된 축분은 ㈜두리테크가 개발한 3단 블레이드 분쇄 장치에 의해 1cm 이하로 크기로 잘게 쪼개진다.


 이후 에너지연이 개발한 F-COMB* 건조 장치를 이용한다. 장치 상부에서는 축분이 떨어지고, 하부에서는 열풍이 투입되는 형태로, 축분이 지그재그로 떨어지게 해 열을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단 1분의 짧은 시간으로도 축분의 수분을 20%까지 줄일 수 있다. 건조된 축분은 ㈜유기산업이 상용화한 TLUD* 열분해 반응기를 이용해 바이오차로 전환된다.

* F-COMB(Flexible-Counter flOw Multi-Baffle): 역흐름 다중 유연 방해판 반응기로 다중의 지그재그로 배치된 방해판에 의해 고체와 역흐름 열풍의 접촉을 최대화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높은 건조/열분해 장치

* TLUD(Top Lid Up-Draft): 상부에서 착화하여 아래로 타면서 내려가게 만들고 연기는 위로 올라가는 방식. 건조된 축분의 온도는 350℃에 이르며, 열분해를 통해 바이오차를 생산


 해당 공정은 충남 청양군의 실증단지에서 일일 10톤의 가축분뇨를 처리할 수 있는 규모로 실증됐다. 연구진은 100시간의 공정 운전을 성공적으로 마쳐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사진자료] 실증 현장에 설치된 MTB 전경


 특히 에너지연 연구진이 개발한 F-COMB 건조 장치는 에너지효율, 제작비용, 편의성에서 모두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국내는 물론 중국, 호주, 인니 등 친환경적 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추진하는 해외 수요까지 확보하고자 일일 100톤 이상의 처리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연구책임자인 유지호 박사는 “국내 가축분뇨의 대부분은 퇴비화되고 있으며, 이때 발생하는 온실가스, 초미세먼지 원인물질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부재하다.”며, 개발한 공정은 가축분뇨를 현장에서 바이오차로 즉시 전환할 수 있는 저비용, 고효율 공정으로 축산분야의 환경문제, 온실가스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한국기계연구원, ㈜두리테크, ㈜유기산업, 칠성에너지, 충남대학교와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1/20

전체 38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 7월 29일(화)~30일(수) 캐나다 몬트리올서 ‘제4회 한국-캐나다 배터리 R&D 워크숍’ 개최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캐나다국립연구위원회 등 각국의 대표 기관 …
2025.07.31
- 7월 17일(목), 대전 오노마 호텔서 차세대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기술 확보를 위한 전략연구단 발족식 및 킥오프 미팅 개최 - 기존 불소계 전해질막 대체할 …
2025.07.22
- 에너지연, 7월9일(수)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국립군산대학교와 업무협약 체결 - 군산 산업단지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와 재생 전기를 활용한 이퓨얼(e-Fu…
2025.07.22
- 기존 촉매보다 암모니아 분해 성능 3배 높은 폴리올 공정 기반 루테늄 촉매 합성법 개발 - 기존 루테늄 촉매 대비 활성화 에너지 20% 저감, 수소 생성률은 1…
2025.07.22
- 10MW 이상급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 자동화 설계 기술, 설계-제작-시험 전주기 통합 인프라 구축- 해외 수입에 의존해 온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의 국산화 초석…
2025.06.24
- 에너지연, 열경화성 폐플라스틱으로 수소 원료 합성가스 제조하는 순산소 연소 기반 가스화 연속 공정 국내 최초 개발 - 공정에서 발생하는 ‘타르’ 획기적으…
2025.06.02
- 에너지연, 하이 니켈 양극재에서 발생하는 잔류 리튬의 위치 재규명으로 기존 통념 깨트려 - 잔류 리튬 수치 54% 줄일 수 있는 양극재 설계 방안 제시 - 재…
2025.05.27
- 에너지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원자재 채취부터 생산까지 전주기 환경영향 평가 수행 - 18개 환경영향 지표 중 지구산성화, 해양 부영양화, 인체발암 독…
2025.05.08
- 에너지연, 음극에서 전자를 빠르게 흡수하는 ‘전자 스펀지’ 기술로 수계아연전지 덴드라이트 형성 억제 성공 - 덴드라이트 형성 원천 차단으로 내구성 3배 …
2025.05.08
- 에너지연, 유연 페로브스카이트/CIGS 박막 다중접합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23.64% 달성 - 신개념 리프트 오프 공정 개발, 전지 성능 향상 원인 발견해 공…
2025.04.15
- 국내 연구진, 저가 센서 활용한 소규모 사업장의 활성탄 교체 주기 측정 기술 개발 - 맞춤형 활성탄 재활용 공정 구축, 공정 중 발생하는 합성가스로 전기 …
2025.04.01
-에너지연, 대기 중 이산화탄소 직접 포집을 위한 신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연속운전을 통해 하루 1킬로그램의 이산화탄소 포집, 95% 이상의 고농도 이산화…
2025.03.17
에너지연, 친환경 ‘그린수소’의 경제적 생산을 위한 청사진 제시 -알칼라인 수전해, 양성자교환막 수전해 기술 비교로 최적의 운영 전략 도출 -현재로서는 알…
2025.03.06
- 별도의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 없이 이산화탄소 96% 이상 배출 가능한 친환경 가스 발전 기술 확보 - 세계 최초로 매체순환연소 기술을 이용한 증기 생산 성…
2025.02.26
- 에너지연 지식정보실, ‘AI 활용 규정 챗봇 시스템’ 기술로 국내 IT 기업과 기술이전 계약 체결 - 규정 검색 시 90% 이상의 정확도로 답변, 검색 시간 90% 단…
2025.02.11
- 에너지연, 1월 9일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와 공동 연구 프로젝트 발굴을 위한 협약 체결 - 미국 등 선진국과의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세계 최고 …
2025.01.2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은 1월 14일(화), 에너지연 본원에서 인공지능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인력교류회를 개최했다. □ 이번 교류회는 ‘A…
2025.01.15
- 에너지연, 독자 기술이 적용된 바이오 전해전지 셀 개발로 공정 대형화 시 전력 손실 문제 해결 - 기존 공정 대비 1.8배 이상의 전자 생산, 수소 생산성 1.2…
2024.12.23
- 12월 3일(화), 제5회 수소경제와 한국의 수소기술 학술토론회(심포지엄) 개최 - 우리나라 수소 기술 현황과 기술 선진국의 연구전략 공유■ 한국에너지기술연…
2024.12.23
- 기존 공정의 한계를 극복한 연속식·대규모 폐플라스틱 열분해 공정 개발 - 순환유동층 공정을 적용해 기존 공정 대비 공정 효율, 열분해유 품질 모두 향상 …
2024.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