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新발전기술로 환경·효율 동시에 잡는다

  • 작성일 2017.10.23
  • 조회수 47134

- 에너지연, 세계 최초 축류형 초임계 이산화탄소 터빈 발전기 개발

- 대형화 가능한 원천기술 개발로 미래 발전시장 선점 시동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 이하 에너지연)은 고온·고압의 이산화탄소로 터빈을 구동, 전기를 생산하는 ‘축류형(axial type) 터빈 기반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핵심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기술은 물의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기존 발전 방식과는 달리, 고온·고압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로 터빈을 구동,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 이 기술은 기존 증기 발전에 비해 발전효율이 2~5% 높아 석탄 등의 에너지원 사용을 줄임으로써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 국내 발전설비 용량이 약 100GWe임을 감안하면,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기술로 기존 증기 발전소를 교체 시 발전효율의 향상으로 1,000MWe급 원자력 발전소 5기의 효과를 내 전기 요금을 5~15%까지 줄일 수 있는 잠재량을 지니고 있다.


□ 이번 기술의 핵심 성과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터빈 발전기를 축류형(Axial type)으로 개발해 소형 반경류(Radial)형 터빈 기술에만 머물던 현 세계기술 수준으로부터 벗어나 대형화를 향한 첫 도약을 펼쳤다는 데 있다.


 ○ 축류(Axial)형 터빈을 이용한 발전방식은 터빈을 구동시키는 유체가 회전축 방향으로 흐르는 방식으로 현재 우리나라 전력생산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수백 MWe급의 상용 발전 규모에서는 축류형 터빈 기술이 필수지만 전세계 대부분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연구자들은 현재까지 소형 반경류(Radial)형 터빈 기술 개발에 머물러 있다. 특히 기술 선도국인 미국에서도 제너럴 일렉트릭社만이 유일하게 축류형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시운전 단계에는 이르지 못한 상태다.


□ 연구진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터빈 기술의 가장 큰 문제였던 축력(Axial force)에 의한 부품파손과 마찰손실(Windage loss)을 고유의 터빈 설계와 운전 전략 개발로 해결했다.


 ○ 초임계 이산화탄소 터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높은 밀도로 인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생기는 마찰과 축력에 의해 회전부품의 손상과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게 된다. 


 ○ 이에 연구진은 터빈을 축류 충동형으로 설계해 축력을 저감하는데 성공했으며 마찰 손실의 감소를 위해 밀봉과 누설 관리 시스템을 개발·도입했다. 또, 운전을 위한 시동에서부터 정지 절차를 독자적으로 개발해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향후 대형화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 이를 통해 선진 기술을 추격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던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기술 분야에서 선도국과 대등한 기초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 연구책임자인 백영진 박사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기술은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감축 등 글로벌 청정에너지 이슈 대응은 물론 신산업 창출의 견인차 역할을 할 미래 발전 핵심기술”이라며, “이번 기술 개발을 계기로 초임계 이산화탄소 터빈 발전기 기술 분야에서 향후 우리나라가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곽병성 원장 역시 “2019년까지 수백 kWe급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대형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에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연구원의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2/20

전체 381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 에너지연, 10월31일(목) 제주도,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 업무협약 체결 -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소 기반의 에너지 시범단지 인프라 구축 및 실증을 위한…
2024.11.01
- 화학적/생물학적 융합 공정 개발로 온실가스 배출 없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성공 - 열분해유를 미생물의 먹이로 정제, 고부가 플라스틱 원료인 ‘디카르복실산…
2024.10.24
- 에너지연, 10월 14일(월) 미국 노스다코타 주정부와 업무협약 체결 - 수소, 배터리, 탄소 포집 및 저장(CCUS) 등 청정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 한국에너…
2024.10.15
- 독자 개발한 에너지시스템 분석 모형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에너지의 역할 분석- 과학적 근거 도출로 탄소중립 관련 정부 정책, 연구개발 전략 수립에 활…
2024.10.10
- 해조류로부터 바이오항공유의 중간 물질인 (R)-감마 발레로락톤 생산 공정 개발 - 잔여물은 리튬 이온전지의 음극 소재로 활용 가능, 해조류의 모든 성분을…
2024.09.25
- 도시 전력망 안정성 문제 해결을 위한 에너지 관리 알고리즘과 시스템 구현 - 주거·업무용 건물 간 에너지 공유로 에너지 자급자족률 38%, 자가소비율 58% …
2024.09.11
- 에너지연, 8월 27일(화) 독일 할레에서 프라운호퍼 IMWS, IFAM, IWES와 MOU 체결 - 수소, 에너지 소재 등 에너지 기술 전반에 걸친 글로벌 연구 프로젝트 발…
2024.08.30
- 에너지연-유니스트, 산화구리를 통해 수계아연전지의 치명적 문제인 덴트라이드 형성 억제 성공 - 전지 동작 성능과 대면적 증착 안정성까지 검증 완료, 기…
2024.08.28
- 에너지연, 공기를 냉매로 활용해 불화온실가스 냉매를 대체하는 신개념 냉장·냉동 기술 확보 - 고도의 설계 기술이 적용된 압축기·팽창기 일체형 초고속 컴…
2024.08.22
- 오스트리아 AIT, 프랑스 CNRS 등 유럽 주요 연구기관과 ‘메라넷3’ 프로그램 참여 - 2024년 7월부터 2027년 6월까지 3년간 수소연료전지 핵심 원천기술 공동 …
2024.08.21
- 에너지연, 이차전지 음극재로 활용 가능한 전도성 금속-유기 구조체(SKIER-5) 개발 - 영하 20도의 환경에서도 흑연 음극재 대비 5배 높은 방전 용량 달성 -…
2024.08.13
- 에너지연·유니스트 공동 연구팀, 전고체 전지 설계 방법론과 툴킷 ‘SolidXCell’ 개발 성공 - 설계 방법론을 적용해 310Wh/kg급 파우치형 셀 제작, 공인 시험…
2024.08.06
- 산업 폐기물인 레드머드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보다 1,300배 강한 냉매 분해 촉매 만들어- 산업 부산물 처리, 온실가스 저감, 토양·수질 오염문제 해결로 일석…
2024.07.17
- 화재 위험 없는 대용량 ESS 레독스 흐름전지... 고가 바나듐 대체하는 활성물질 ‘비올로겐’ 적용- 조립 블록을 끼우듯 비올로겐 분자에 작용기를 끼워 넣어 …
2024.06.26
- 에너지연, 버려지는 산림, 농업 폐기물을 발전용 연료로 재탄생시키는 기술 개발- 비식용 폐기물을 활용한 탄소중립 연료 업사이클링 기술 개발...자원 선순…
2024.06.20
- 쉽고 빠른 산화물 촉매 코팅 기술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성능 3배 향상-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부터 고온 수전해까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 확보-…
2024.06.12
- 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그린수소 활용 전략과 방법론 제시- 실제 기상, 전력수요 데이터 활용해 신뢰성 제고...정부, 기업의 의…
2024.05.30
- 에너지연,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를 질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촉매 개발- 달걀껍질 구조의 촉매로 반응성 높여 배출되는 고농…
2024.05.28
- 에너지연, 미생물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항산화 물질인 카로티노이드로 전환하는 공정개발-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활용해 낮은 용해도 문제 해결, 고부가 물…
2024.05.22
- 가축분뇨를 ‘바이오차’로 급속 전환, 탄소중립 실현과 초미세먼지 저감에 기여- 축산 농가의 골칫거리인 가축분뇨를 하루 만에 처리하는 고효율∙친환경 기술-…
2024.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