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오염물질 배출 없는 ‘암모니아’ 연소 기술 개발 나선다

  • 작성일 2021.06.29
  • 조회수 21078

- 국내 최초로 다른 연료와의 혼합 없이 순수 암모니아를 이용한 연소 기술 개발

- 무탄소 연료 암모니아의 직접 이용 기술 개발 통해 탄소 중립 기여

- 탄소중립 향한 도전, ‘암모니아연소기술 개발 나선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신연소발전연구실 이민정 박사 연구진이 국내 최초로 100% 무수 암모니아*를 이용한 연소 기술 개발에 나섰다.

* 무수 암모니아(anhydrous ammonia): 질소와 수소로 구성된 액체 및 기체 상태의 순수 암모니아를 의미하며, 수용액 상태의 암모니아수와 구별하기 위해 무수(無水) 암모니아라 명명

 

연구진은 연구원 기본사업인 ‘CO2-free 암모니아 직접 이용을 위한 저NOx 가스터빈 연소기술 개발을 통해 암모니아 연소기 핵심 설계 기술을 확보할 예정이다. 특히 기존 연료와의 혼합 없이 100% 암모니아만을 이용한 연소기술 개발은 국내 최초의 시도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에 따라 수소는 다양한 산업 부문으로 확대돼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가운데 무탄소 연료인 암모니아의 사용은 수소 캐리어로써 수소경제를 견인할 수 있고, 연료 암모니아 연소를 통해 직접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다. 또한 수소와 비교했을 때, 폭발 위험성이 적고 안정성은 높으며 세계적으로 비료 용도 등으로 이용이 활발해 기반 인프라가 갖춰져 있어 경제성에 확보에도 장점이 있다.

 

암모니아 연소기술에 대한 세계적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올해 3월에는 MHI(Mitsubishi Heavy Industries, 일본)사가 2025년 세계최초 상용화를 목표로 40MW 암모니아 가스터빈 개발에 착수했으며, 6월에는 GE(General Electric, 미국)사와 IHI(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일본)사가 MOU체결을 통해 아시아 가스터빈 시장 진입을 위한 로드맵 수립을 시작했다.

 

암모니아는 기존 LNG연료 대비 50% 수준의 낮은 발열량과 20% 수준의 연소속도를 가져 연소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연료에 포함된 질소 원자로 인해 고온의 연소 환경에서 NOx 배출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높은 TDR*을 갖는 연료 노즐 설계, 폐열을 이용한 암모니아 수소 분해 기술 및 연료 다단연소기술을 통해 연소 안정성 확보 및 NOx 생성을 억제하고자 한다.

* TDR(Turn Down Ratio): 연소기의 운전범위을 수치적으로 나타낸 최소값 대비 최대값(유속 또는 열부하)의 비율

 

암모니아는 LNG연료 대비 가연한계가 좁고, 연소속도가 낮기 때문에 화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높은 TDR의 연료 노즐 설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CFD 해석과 실험을 통해 연료 노즐 주위의 유동 특성과 반응이 시작되는 화염 선단의 연소 특성을 고려해 화염 날림 또는 화염 꺼짐 현상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연료 노즐 설계 기술을 확보한다.

 

또한, 연구진은 버려지는 고온의 폐열을 이용해 기존의 연소 공기 예열 기술뿐만 아니라 연료 예열을 통한 암모니아 부분분해 기술을 적용한다. 연료 예열을 통해 연소 시스템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암모니아의 일부를 반응성이 좋은 수소로 전환시켜 암모니아수소 혼합연료로 연소속도 향상과 높은 TDR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암모니아를 연료로 직접 활용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중요한 과제는 질소산화물 억제다. 일본, 영국 등의 암모니아 연소기술은 대부분 공기 다단연소*방식을 채택하는데 반해, 연구진은 연료 다단연소 기술을 적용해 연소기에 투입되는 연료를 1차와 2차로 공급한다. 2차 연소에서 암모니아의 유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해 SNCR** 프로세스를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기술적 차별성을 확보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관련 특허 출원을 진행 중에 있다.

* 공기다단연소: 산화제인 공기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분사하는 방법.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 정도를 조절해 연소반응을 억제함으로써 화염의 고온부 온도를 낮추거나 높은 산소 농도영역과 고온의 영역 내의 체류시간을 줄임으로써 NOx의 효율적인 저감을 달성하는 기술

** SNCR(Selective Non Catalytic Redution, 무촉매환원법): 소각로, 보일러 등 폐기물이나 연료의 연소과정 중에 발생되는 질소 산화물을 무해한 질소와 물로 환원시켜 제거하는 기술

 

정학근 에너지효율연구본부장은 무탄소 연료 암모니아 연소기술 개발을 통해 발전산업부문의 에너지 다소비 기기 탄소 감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기술은 국내 온실가스 배출의 87%를 차지하는 에너지 부문 연료 연소 시스템의 무탄소 연료 전환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가스터빈, 화력발전, 철강 가열공정, 석유화학 및 정유 공정, 산업용 보일러 부문의 탄소 배출량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위해 신연소발전연구실은 다가올 무탄소 연료 전환에 필요한 연소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8/20

전체 391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 초미세먼지 획기적으로 줄이는 저비용 기술 개발- 극저온 질소산화물 저감 효율 향상, 광역온도 운전 에너지절감형 배연탈질기술 - 에너지효율 향상을 통한 …
2021.03.25
-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의 고부가가치 활용 기술 개발- 다공성 그래핀 나노샌드위치 구조로 연료전지 촉매 내구성 극대화   □ 국내 연구진이 연료전지에 사용…
2021.03.10
- 먼지배출 1/10로 줄이는 복합재생 백필터 집진기술 상용화- 15m 백필터 적용 고성능, 저비용 여과집진장치, 포스코 광양 제철소에서 실증완료- 복합재생 백필…
2021.02.25
- 스스로 색이 변하는 스마트윈도우, 반응원리 규명으로 성능과 내구성 향상 기대- 광감응 자동 색변환 스마트윈도우 반응 메커니즘 규명 - 스마트윈도우 반응…
2021.02.18
- 폐비닐 대란의 해결 방법은 열분해에 의한 청정 오일 생산이 대안- 친환경적, 경제적으로 우수한 연속식 열분해 오일화 플랜트 개발 - 오일 생산 수율 60%이…
2021.02.15
- 에너지연의 에너지닥터 기술멘토링, 기업성장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애로기술 해결 지원- 2년간의 애로기술 지원으로 FDA인증과 제품출시 이끌어- 유해가…
2021.02.09
- 태양빛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시각적인 투광성도 함께 구현하는 미래형 에너지하베스팅 투명 태양전지 기술개발- 차세대 투명 태양전지기술, 재료과학분야 저…
2021.02.04
- 온실가스인 메탄으로부터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원료 생산- 셰일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을 고부가가치 에틸렌으로 전환 □ 탄소원자 하나와 수소 네 개가 결합한 …
2021.01.28
- 불 안나는 ESS 바나듐 전해액 대량생산, 재생에너지 전환의 마중물 역할- 촉매반응을 이용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고순도 전해액 대량생산 성공- 비 발…
2021.01.21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로 에너지 대상 수상 - KIER CONFERENCE를 통해 성과공유를 지속하고, 성과공유를 통해 지식자산 축적의 장 마련   ■ 한국에…
2020.12.28
- 시멘트 산업에서 발생하는 염화칼륨 함유 먼지와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탄산광물로 전환시켜- 이산화탄소 포집과 동시에 전환하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기술…
2020.12.22
- 협업 문화 활성화와 탁월한 성과 창출 촉진을 위한 지식 공유의 장- 『KIER Conference 2020』 온라인 개최(12월 15일~12월 16일)   ■ 한국에너지기술연구…
2020.12.16
- 국내에서 처음으로 브레이징 밀봉기술을 적용해 연료전지 효율과 안정성 잡았다.- 국산 단전지 및 분리판 소재를 이용해 연료전지용 핵심 기술 확보   ■ …
2020.12.10
- 에너지연, 정밀화학 제품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고점도 물질용 복합 건조장치 개발- 복합 전열 방식을 통해 건조효율과 건조시간을 동시에 향상- 제품의 변성…
2020.12.01
- ‘질소산화물 흡수액 기술’로 녹색기술 인증 획득 - 금속착화합물 흡수액을 이용해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수용성 악취가스 동시 제거 가능 - 녹색기술 인…
2020.11.26
- 부산의 에코델타시티(EDC)에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와 에너지공유 플랫폼 실증- 에너지 자립률 100% 및 에너지효율화 60% 달성 위한 복합에너지시스템…
2020.11.24
- 노후 공동주택에도 무선 스마트미터로 난방·온수 사용량을 실시간 확인 가능한 무선 보안 통신 기반 보급형 제품 개발- 열사용량 실시간 확인으로 최대 13% …
2020.11.19
- 별도의 분리설비 없이 온실가스 포집과 함께 초미세먼지 유발물질인 질소산화물도 저감-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
2020.11.12
- 에너지저장장치와 신재생에너지의 하이브리드 결합을 통해 친환경성 더해- 안정적인 운영과 더불어 에너지자립률도 향상시켜   □ 국내 연구진이 에너지저장…
2020.11.08
- 복합 계간축열식 태양열 및 지열원 히트펌프 적용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실증 추진 - 재생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한 똑똑하고 친환경적 농업 실증 나서   …
2020.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