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녹색기술로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쏙쏙 제거한다.

  • 작성일 2020.11.26
  • 조회수 26545

- ‘질소산화물 흡수액 기술로 녹색기술 인증 획득

- 금속착화합물 흡수액을 이용해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수용성 악취가스 동시 제거 가능

- 녹색기술 인증으로 친환경 기술력 입증, 향후 흡수액 재생 공정 개발로 경제성 향상 기대

 

국내 연구진이 사계절 불청객이 된 미세먼지의 주범인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그리고 악취까지 쏙쏙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을 개발해 인증까지 획득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청정연료연구실 윤형철 박사 연구진(김선형, 조강희 박사)은 습식 세정설비를 이용해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수용성 악취유발물질을 동시에 처리하는 기술로 녹색기술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녹색기술인증: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의거해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 청정생산 기술 등 녹색 산업분야 관련 기술을 인증해주는 제도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전담하고 있다.

 

연소산업, 제철산업 등에서 많이 배출되는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은 대기오염 물질이며, 초미세먼지 생성의 2차적 원인이다. 현재 미세먼지 배출에 대한 환경 기준이 더욱 강화되고 있어,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의 제거는 필수적이다.

 

대기오염물질 감축을 위해 활용된 기존의 선택적환원촉매*는 고가의 촉매를 사용하고 배가스가 저온일 경우 300이상으로 가열이 필요해 높은 운전비, 유지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산화 기반 질소산화물 흡수 공정**의 경우 사용되는 흡수액이 고가이며, 질산폐수를 발생시켜 경제적이고 환경적 요건을 만족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 선택적환원촉매(Selective Catalytic Reduction,SCR):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질소산화물(: NO, NO2 등 통칭 NOx, 산성비, 광화학적 스모그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유해물질)을 대기중으로 배출되기 전에(배출후단에서) N2O2 등 유해하지 않은 물질로 전환시키는 환경설비를 의미한다.

** 산화 기반 질소산화물 흡수 공정: 화제, 오존 등을 사용하여 일산화질소를 이산화질소로 산화시킨 후 흡수하는 방식

 

이에 연구진은 항산화력이 강하고 흡수 성능이 뛰어난 금속착화합물 기반의 수용액으로 100미만의 저온에서도 배기가스 내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수용성 악취가스를 동시에 고효율로 제거 가능한 경제성과 환경성을 갖춘 흡수액을 개발했다.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은 대부분 일산화질소(연소공정의 경우 90% 이상)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에 잘 녹지 않는 일산화질소를 제거하는 기술이 흡수 공정의 핵심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금속착화합물 흡수액은 물에 용해된 금속이온과 리간드의 배위결합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금속착화합물 흡수액은 일산화질소를 산화과정 없이 금속이온에 직접 결합시켜 제거하므로 경쟁 기술인 산화 기반 흡수액 대비 질산 폐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기존에 연구되고 있는 금속착화합물은 산소에 노출되었을 경우 쉽게 흡수 성능을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개발된 흡수액은 높은 일산화질소 선택성과 항산화력을 동시에 갖추고 있기 때문에 고농도의 산소 조건에서도 고효율의 제거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실제 녹색기술 인증 과정에서 벨이앤씨(대표이사 이환영, 연구소장 노학재)에서 개발한 파일럿 규모의 흡수 공정에 적용 시, 고농도의 산소(21%)를 포함하는 유입가스 조건에서도 98% 이상의 황산화물 및 85% 이상의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성능을 보였다.

 

이번 연구성과는 2018년부터 수행한 연구원의 주요사업을 통해 개발한 흡수액을 활용해 중소기업의 습식 세정설비에 적용한 사례이다. 연구진은 향후 금속착화합물 흡수액 기반 배가스 처리기술의 경제성 확보의 핵심인 흡수액 재생기술을 집중적으로 개발할 계획으로 향후 2년 내 파일럿 플랜트 운전을 통해 검증 후 사업화할 예정이다.

 

금속착화합물 흡수액을 이용한 흡수-재생 통합 시스템 개발에서 재생을 통한 흡수액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면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흡수액 시약 비용을 대폭 절감가능하다. 또한 흡수액 보충 없이 장시간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 확보가 용이하며, 제철산업, LNG, 연소시설, 전자산업, 선박 등 질소산화물을 배출하는 다양한 사업장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구책임자인 윤형철 책임연구원은 처리비용과 기존의 상용기술에 비해 경쟁력이 높아 조기에 기술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기에 국가 녹색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선도연구기관 협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주관기관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인증기술의 핵심인 흡수액을 개발하고 참여기관인 벨이앤씨는 흡수-세정 통합처리시스템을 개발했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7/20

전체 381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 국내 최초로 다른 연료와의 혼합 없이 순수 암모니아를 이용한 연소 기술 개발- 무탄소 연료 암모니아의 직접 이용 기술 개발 통해 탄소 중립 기여- 탄소중립…
2021.06.29
- 국내 기술로 개발한 10kW급 알칼라인 수전해 스택 자체 개발- 1,000시간 이상 운전, 82% 고효율 수소 생산 성공- 해외 선도기업 대비 충분한 경쟁력 확보 및 …
2021.06.24
- 탄소중립 핵심 분야인 태양광 모듈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보고서 2편 번역 발간- IEA-PVPS(국제 에너지기구 태양광발전 협력사업) 홈페이지에 공식게재   ■…
2021.06.16
- 온실가스인 메탄을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원료로 전환- Easy&Simple&Cheap 질소 도핑 기술 개발로 산화반응 억제 및 에틸렌 선택도 극대화   ■ 한국에너지기…
2021.06.10
- 그린 수소 생산용 고성능 수전해 촉매 개발...온도조절만으로 나노입자 조성 최적화 - 금속-금속산화물 시너지 효과 이용, 기존 상용 수전해 촉매 대비 61% …
2021.06.03
- 신개념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 개발로 유용 화합물 생산성 2배 향상- 전해액 대신 수증기를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경제성과 온실가스 감축효과…
2021.05.27
- 국내 최초 태양전지 소자 전류-전압 특성곡선 및 분광응답도 측정에 관한 KOLAS 공인시험기관 자격 획득 및 국제시험소상호인정협정(ILAC-MRA) 가입- 차세대 …
2021.05.17
- 에너지연, 도시형 플러스에너지커뮤니티 플랫폼 개발- 신·재생에너지기술 융복합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플러스에너지건물 선보이다.- 도시형 플러스에너지커…
2021.05.10
- 수소 연료전지 수명 극대화한 코어-쉘 구조 전극촉매 개발- 가압 질화 공정 도입을 통한 코어-쉘 전극촉매 내구성 증대 기술 확보 - 코어-쉘 전극촉매 활용…
2021.05.07
- 초미세먼지, 부유세균,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3-in-1 제거 성능 검증 - 정전기적 인력, 수산화 이온 및 오존수의 산화를 이용한 차세대 공기청정 기술 - 지하…
2021.05.04
- 초미세먼지 획기적으로 줄이는 저비용 기술 개발- 극저온 질소산화물 저감 효율 향상, 광역온도 운전 에너지절감형 배연탈질기술 - 에너지효율 향상을 통한 …
2021.03.25
-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의 고부가가치 활용 기술 개발- 다공성 그래핀 나노샌드위치 구조로 연료전지 촉매 내구성 극대화   □ 국내 연구진이 연료전지에 사용…
2021.03.10
- 먼지배출 1/10로 줄이는 복합재생 백필터 집진기술 상용화- 15m 백필터 적용 고성능, 저비용 여과집진장치, 포스코 광양 제철소에서 실증완료- 복합재생 백필…
2021.02.25
- 스스로 색이 변하는 스마트윈도우, 반응원리 규명으로 성능과 내구성 향상 기대- 광감응 자동 색변환 스마트윈도우 반응 메커니즘 규명 - 스마트윈도우 반응…
2021.02.18
- 폐비닐 대란의 해결 방법은 열분해에 의한 청정 오일 생산이 대안- 친환경적, 경제적으로 우수한 연속식 열분해 오일화 플랜트 개발 - 오일 생산 수율 60%이…
2021.02.15
- 에너지연의 에너지닥터 기술멘토링, 기업성장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애로기술 해결 지원- 2년간의 애로기술 지원으로 FDA인증과 제품출시 이끌어- 유해가…
2021.02.09
- 태양빛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시각적인 투광성도 함께 구현하는 미래형 에너지하베스팅 투명 태양전지 기술개발- 차세대 투명 태양전지기술, 재료과학분야 저…
2021.02.04
- 온실가스인 메탄으로부터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원료 생산- 셰일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을 고부가가치 에틸렌으로 전환 □ 탄소원자 하나와 수소 네 개가 결합한 …
2021.01.28
- 불 안나는 ESS 바나듐 전해액 대량생산, 재생에너지 전환의 마중물 역할- 촉매반응을 이용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고순도 전해액 대량생산 성공- 비 발…
2021.01.21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로 에너지 대상 수상 - KIER CONFERENCE를 통해 성과공유를 지속하고, 성과공유를 통해 지식자산 축적의 장 마련   ■ 한국에…
202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