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차세대 수전해 분리막 기술로 세계 수소시장 우위 선점한다

  • 작성일 2023.04.04
  • 조회수 177592

- 국내 기술로 개발한 세계 최고 수준의 고성능, 고안정성 차세대 알칼라인 수전해 분리막기술

- 해외 상용 분리막 대비 수소 생산 밀도 3배 향상 및 수소-산소 혼합 억제

- 그린 수소 생산 기술 소재/부품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충분한 경쟁력 확보

- 알칼라인 수전해 분리막과 평가 플랫폼 기술 GS건설㈜에 이전


□ 국내 연구진이 그린수소* 생산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할 세계 최고 수준의 고성능, 고안정성 분리막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국내 수요기업에 이전 돼, 그린수소 생산 관련 전-후방 소재·부품·장비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그린수소: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수전해)하여 생산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는 친환경적인 수소


[사진자료] 연구진이 개발한 30kW급 알칼라인 수전해 스택 및 운전 장치 모습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이하 ‘에너지연’) 수소연구단 조현석 박사 연구진은 알칼라인 수전해* 장치의 수소 생산 밀도를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고성능, 고안정성의 분리막을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 해외 상용 제품 대비 수소 생산 밀도는 3배 이상 향상시키면서 수소와 산소의 혼합에 의한 폭발 위험은 현저히 억제한 것이 기술의 핵심이다.

* 수전해: 물을 전기분해해 분리막으로 이온을 이동시킴으로써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는 전기화학적 기술로, 세계 수전해 장치 시장 규모는 2020년-0.936GW, 2025년-5GW, 2030년-40GW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 수전해 기술 중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은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 전해액을 사용해 물을 수소 양이온(H+)과 수산화 음이온(OH-)으로 분리하는 기술.


 수소는 에너지 산업뿐만 아니라 철강, 화학, 운송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될 수 있어 수요와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2035년 1.8억 톤, 2050년 6.5억 톤으로 전체 에너지 수요의 약22%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생산 중인 수소의 대부분은 생산비용*이 가장 저렴한 그레이수소**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술개발을 통해 경제성이 확보된 그린수소가 증가할 전망이다.

* 그린수소-2.03~11.81US$/kg, 블루수소-1.29~2.85US$/kg, 그레이수소-0.86~2.26US$/kg (블룸버그NEF, 2021) ** 그레이수소: 천연가스를 개질해 생산하는 수소.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생산원가가 저렴하지만 온실가스 다량발생


 그린수소 생산 기술 중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은 알칼라인 용액의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로, 타 기술 대비 저가의 전극과 분리막 소재를 사용하고 기술적 성숙도와 장기내구성이 높아 대용량의 그린수소를 생산하기에 적합하다. 하지만 상용 분리막은 친수성 세라믹 입자의 분포가 불균일하고, 미세구조가 치밀하지 않아 이온 전도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수소와 산소의 혼합을 쉽게 억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연구진은 분리막 제작 조건의 최적화를 통해 40nm(나노미터) 크기의 미세 나노 기공으로 구성된, 치밀한 다공성 구조 구현에 성공해 단점을 극복했다. 미세 나노 기공 주변에 친수성 세라믹 입자들을 조밀하고 균일하게 분포하게 해 굴곡률은 높여 수소와 산소 혼입은 현저히 억제하면서도, 조밀한 친수성 세라믹 입자를 따라 수산화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극대화되는 효과로 인해 이온전도를 큰 폭으로 향상시켰다.


 국내 통상적인 수전해 장치는 0.4 A/cm2 이하의 전류밀도에서 고위발열량* 기준 80% 미만의 효율을 보인다. 이에 반해 연구진이 개발한 분리막을 단일 셀에 적용해 실제 알칼라인 수전해 장치 운전환경에서 평가한 결과, 전류밀도를 3배 높인 1.2A/cm2 이상에서도 80% 이상의 높은 효율을 수소를 생산 가능함을 확인해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 고위발열량(Higher Heating Value, HHV): 연료가 완전 연소했을 때 방출하는 열량. 연소에 의해 생긴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값. 총발열량이라고도 한다.


 이와 함께 연구진은 실험실 규모에서 알칼라인 수전해 스택의 스케일-업(확대) 기술을 확보하고 검증할 수 있는 평가 플랫폼도 구축했다. 평가 플랫폼은 10kg/d 수소 생산까지 평가가 가능하게 설계됐으며, 수소방폭, 역화방지기, 가스정제기, 컨트롤러, 열교환기, De-oxo촉매 반응기 등을 구성해 실제 상용 수전해 시스템에 가깝게 구현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알칼라인 수전해 분리막과 스택 평가 플랫폼 기술은 GS건설㈜에 이전됐다. 수전해 기술의 상용화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분리막 기술을 국산화해 이룬 성과로써 해외 선도 기업 대비 가격과 기술 경쟁력에서 우위를 선점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으며, 수전해 성능 평가 플랫폼 기술은 기술적 지원을 더해 수요기업의 그린 수소 생산 시스템 구축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진은 현재 개발한 분리막을 900cm2 면적으로 확대해 30kW급 알칼라인 수전해 스택에 적용해 평가 플랫폼에서 검증을 수행하고 있으며, 수요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2025년까지 MW급 상용 수전해 적용을 위한 m² 면적의 스케일-업 기술 개발 역시 수행 중이다.


 연구책임자인 조현석 박사는 “현재 세계 각국에서는 그린수소 생산 기술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수소 생산 밀도를 향상시키는 핵심 소재와 기술 개발을 앞다투고 있는 상황에서,이번 분리막 기술은 국내 자체 기술을 통해 그린수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경쟁력을 얻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며, “국내 수전해 시장의 확장을 위해 현재 기술에 만족하지 않고 국내 수요 기업과 상보적 협력을 통해 핵심 소재와 부품 기술의 상용화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하는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사업과 공공연구성과 활용촉진 R&D 사업의 지원을 통해 2019년부터 지난 3년 간 수행됐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2/20

전체 381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 에너지연, 10월31일(목) 제주도,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 업무협약 체결 -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소 기반의 에너지 시범단지 인프라 구축 및 실증을 위한…
2024.11.01
- 화학적/생물학적 융합 공정 개발로 온실가스 배출 없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성공 - 열분해유를 미생물의 먹이로 정제, 고부가 플라스틱 원료인 ‘디카르복실산…
2024.10.24
- 에너지연, 10월 14일(월) 미국 노스다코타 주정부와 업무협약 체결 - 수소, 배터리, 탄소 포집 및 저장(CCUS) 등 청정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 한국에너…
2024.10.15
- 독자 개발한 에너지시스템 분석 모형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에너지의 역할 분석- 과학적 근거 도출로 탄소중립 관련 정부 정책, 연구개발 전략 수립에 활…
2024.10.10
- 해조류로부터 바이오항공유의 중간 물질인 (R)-감마 발레로락톤 생산 공정 개발 - 잔여물은 리튬 이온전지의 음극 소재로 활용 가능, 해조류의 모든 성분을…
2024.09.25
- 도시 전력망 안정성 문제 해결을 위한 에너지 관리 알고리즘과 시스템 구현 - 주거·업무용 건물 간 에너지 공유로 에너지 자급자족률 38%, 자가소비율 58% …
2024.09.11
- 에너지연, 8월 27일(화) 독일 할레에서 프라운호퍼 IMWS, IFAM, IWES와 MOU 체결 - 수소, 에너지 소재 등 에너지 기술 전반에 걸친 글로벌 연구 프로젝트 발…
2024.08.30
- 에너지연-유니스트, 산화구리를 통해 수계아연전지의 치명적 문제인 덴트라이드 형성 억제 성공 - 전지 동작 성능과 대면적 증착 안정성까지 검증 완료, 기…
2024.08.28
- 에너지연, 공기를 냉매로 활용해 불화온실가스 냉매를 대체하는 신개념 냉장·냉동 기술 확보 - 고도의 설계 기술이 적용된 압축기·팽창기 일체형 초고속 컴…
2024.08.22
- 오스트리아 AIT, 프랑스 CNRS 등 유럽 주요 연구기관과 ‘메라넷3’ 프로그램 참여 - 2024년 7월부터 2027년 6월까지 3년간 수소연료전지 핵심 원천기술 공동 …
2024.08.21
- 에너지연, 이차전지 음극재로 활용 가능한 전도성 금속-유기 구조체(SKIER-5) 개발 - 영하 20도의 환경에서도 흑연 음극재 대비 5배 높은 방전 용량 달성 -…
2024.08.13
- 에너지연·유니스트 공동 연구팀, 전고체 전지 설계 방법론과 툴킷 ‘SolidXCell’ 개발 성공 - 설계 방법론을 적용해 310Wh/kg급 파우치형 셀 제작, 공인 시험…
2024.08.06
- 산업 폐기물인 레드머드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보다 1,300배 강한 냉매 분해 촉매 만들어- 산업 부산물 처리, 온실가스 저감, 토양·수질 오염문제 해결로 일석…
2024.07.17
- 화재 위험 없는 대용량 ESS 레독스 흐름전지... 고가 바나듐 대체하는 활성물질 ‘비올로겐’ 적용- 조립 블록을 끼우듯 비올로겐 분자에 작용기를 끼워 넣어 …
2024.06.26
- 에너지연, 버려지는 산림, 농업 폐기물을 발전용 연료로 재탄생시키는 기술 개발- 비식용 폐기물을 활용한 탄소중립 연료 업사이클링 기술 개발...자원 선순…
2024.06.20
- 쉽고 빠른 산화물 촉매 코팅 기술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성능 3배 향상-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부터 고온 수전해까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 확보-…
2024.06.12
- 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그린수소 활용 전략과 방법론 제시- 실제 기상, 전력수요 데이터 활용해 신뢰성 제고...정부, 기업의 의…
2024.05.30
- 에너지연,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를 질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촉매 개발- 달걀껍질 구조의 촉매로 반응성 높여 배출되는 고농…
2024.05.28
- 에너지연, 미생물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항산화 물질인 카로티노이드로 전환하는 공정개발-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활용해 낮은 용해도 문제 해결, 고부가 물…
2024.05.22
- 가축분뇨를 ‘바이오차’로 급속 전환, 탄소중립 실현과 초미세먼지 저감에 기여- 축산 농가의 골칫거리인 가축분뇨를 하루 만에 처리하는 고효율∙친환경 기술-…
2024.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