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청정수소 생산, 해외 기술격차 넘어 선도해 나간다

  • 작성일 2023.11.30
  • 조회수 93575

- 고온 전기분해 환경에 최적화된 국산 고온수전해 전용 스택 개발

- 국내 소재·부품 및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고온수전해 전용 스택 기술 국산화

- 해외 상용 스택 기술 대비 작동온도 100~200℃ 저감하면서 수소 생산효율 경쟁 우위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창근, 이하 ‘에너지연’) 수소융복합소재연구실 김선동 박사 연구진이 고온에서 수증기를 전기분해해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고온수전해** 스택***을 개발했다.스택은 수증기 분해에 최적으로 설계돼 해외기술에 비해 낮은 작동온도로도 높은 수소 생산효율을 나타냈다.

* 청정수소: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2kgCO2/kgH2) 하면서 생산하는 수소

** 고온수전해(Solid Oxide Electrolysis Cell, SOEC): 재생에너지 또는 원자력에너지로부터 유래된 전력을 이용하여 고온의 수증기를 전기분해 하여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기술

*** 스택: 물 분해를 통해 생산된 수소의 생산 용량을 늘리기 위해 여러 장의 수전해 셀과 금속분리판, 집전체 및 밀봉재 등을 적층하여 제작하는 수전해 핵심 부품


□ 차세대 수전해(물 전기분해) 기술로 꼽히는 고온수전해 기술은 수증기를 전기분해하는방식으로, 850℃에 이르는 고온의 수증기를 활용하기 때문에 저온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기를 필요로 한다. 즉, 높은 효율을 통해 대용량의 수소를 생산하는데 적합한 기술이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고온수전해 스택 기술은 유사 기술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설계를그대로 도입해 제작되고 있으나, 에너지연이 개발한 고온수전해 스택은 초기 설계 단계부터 수증기 전기분해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 세라믹과 같은 고체 산화물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연료의 화학 에너지를 전기적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대기 오염을 일으키지 않고,전기 발생 효율이 높으며, 전해질이 고체이므로 이온을 통과시키기 위해 고온에서 작동


□ 연구진은 고온수전해의 연료인 수증기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인 수소와 매우 큰 유동 특성 차이를 가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수증기는 수소보다 부피가 크고 점성이 낮아 스택 내부에서 수증기가 잘 흐르지 못하면 셀의 촉매 층에 고르게 분포되지 못해 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연구진은 수증기 유동 특성에 최적화된 분리판을 설계해 유동 균일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뛰어난 성능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 또한 연구진이 개발한 고온수전해 전용 스택은 대용량 수소 생산에 적합한 형태의 전극지지형 셀을 적용해 전해질 지지형 셀 해외 기술 대비 100~200℃ 낮은 650~750℃ 온도에서 작동해 소모 전력은 줄이면서도 수소 생산 효율은 우위에 있다. 스택이 750℃의 온도에서 작동할 경우, 하나의 셀로부터 저위발열양* 기준 100%에 달하는 전기 효율로 시간당 약32L 의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스택은 30개의 셀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 시간당 약 1,000L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 저위발열량(Lower Heating Value, LHV): 연료가 완전 연소했을 때 방출하는 열량 중 연소에 의해 생긴 수증기의 잠열을 제외한 값. 순 발열량이라고도 한다.


 또 개발한 SOEC 전용 스택은 에너지연이 자체적으로 설계했으며, 스택 제작에 필요한 밀봉재, 금속분리판 등의 주요 부품은 모두 국내 소재와 설계·제조 기술로 구현됐다.


 연구책임자 김선동 박사는 “이번 성과는 우리나라의 고온수전해 기술을 강화하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저렴한 그린수소 대량생산을 위한 고온수전해 기술 상용화가 곧 현실이 될 가운데, 현재 개발 중인 고온수전해 전용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기존 상용품 대비 대폭 증진시켜 우리나라 기술이 이 분야에서 중심 역할을 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 사업은 에너지연이 총괄주관기관으로 국내 9개의 산·학·연이 참여하고 있으며, 고온수전해 기술의 선도국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기술의 국산화, 기술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프린트 돌아가기

전체 342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 가축분뇨를 ‘바이오차’로 급속 전환, 탄소중립 실현과 초미세먼지 저감에 기여- 축산 농가의 골칫거리인 가축분뇨를 하루 만에 처리하는 고효율∙친환경 기술-…
2024.04.25
- 천연가스 발전 가동 초기에 배출되는 인체 치명적 유해물질, 고효율로 동시 저감- 국내 천연가스 발전 운전 특성에 최적화된 촉매 개발로 효과성, 적용성 뛰…
2024.04.18
- 하루 5.7kg 수소 생산 가능한 국내 최대 규모의 8킬로와트(kW) SOEC 스택 자체 개발- 분리판 제조 기술과 셀 접합 기술 개선으로 제조 단가 절감, 시장 경쟁…
2024.04.04
- 건물에너지 생산부터 소비, 수요관리, 고장진단까지 실시간으로- 확대되고 있는 건물 내 분산자원 간 효과적이고 신속한 제어기술 확보- 사이버 공격에도 안…
2024.03.26
- 수소 생산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최소화로 탄소중립 실현 기여- 메탄(CH4) 대비 이산화탄소(CO2) 선택도 4.6배 향상, 흡착량도 매우 우수- 기존 흡착 …
2024.03.07
- 에너지연, 국내 최초로 암모니아에서 이산화탄소 배출 없는 고순도 수소 생산 성공- 암모니아 분해 시 사용하는 화석연료를 암모니아, 수소로 대체하는 생산 …
2024.02.29
- 반투명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숙제, 금속산화물층 열화 현상 최초 규명- 국내 최초 양면수광형 탠덤 태양전지 제작에도 적용해 효율 향상 기여- 에너지·…
2024.02.21
- 유망한 수소 저장·운송 수단, 무탄소 연료 ‘암모니아’, 값싸게 만든다- 청정 암모니아 대량 생산 경쟁력 확보로 암모니아 100% 수입 의존 극복- 기존 하버-보…
2024.02.06
- 세계 최고 에너지 국책 연구기관인 독일 헬름홀츠 베를린 재료·에너지 연구소(HZB) 등 유럽 유수 기관과 글로벌 컨소시엄 구성- 초경량 유연 다중접합 태양전…
2024.01.25
- 촉매 실험 자동화한 스마트 실험실 구축으로 안전하고 안정적인 실험환경 마련-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실험 데이터 분석·활용, 실험실의 디지털 트윈 실현-…
2024.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