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온실가스와 폐기물을 유용한 자원으로 환골탈태 시킨다.

  • 작성일 2020.12.22
  • 조회수 25266

- 시멘트 산업에서 발생하는 염화칼륨 함유 먼지와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탄산광물로 전환시켜

- 이산화탄소 포집과 동시에 전환하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기술 개발

 

신 기후체제에 부응하는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으로 전환을 위해 ’16‘2030 온실가스 감축로드맵수립부터 최근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까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노력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시멘트 산업의 체질을 개선해줄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미세먼지연구단 정순관 박사 연구진은 산학연 공동으로 시멘트 산업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와 폐기물은 동시에 줄이고, 폐플라스틱의 사용은 확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산업군인 시멘트 산업에서는 온실가스를 기술적으로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이 시멘트 제조 시 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화석연료인 유연탄을 폐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폐플라스틱은 유연탄보다 탄소배출계수*가 작기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연료비용을 줄이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탄소배출계수: 원료 1kg을 태웠을 때 발생하는 탄소의 양(kg)으로 탄소배출계수가 높을수록 온실가스의 배출량이 증가함


그러나 폐플라스틱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소(Cl)성분과 광물로부터 발생된 칼륨(K)이 농축된 먼지(시멘트 킬른 더스트)가 많은 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염소 농축 먼지는 지정폐기물로 분류돼 처리 시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폐플라스틱 활용 확대에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끝에 시멘트 제조 시 배출되는 폐기물인 염화칼륨(KCl) 함유 먼지와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탄산칼슘으로 전환하는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염화칼륨이 물에 잘 녹는 성질(용해도 339.7g/L, 20)에 착안해 추출을 통해 염화칼륨 함유 먼지로부터 염화칼륨을 99% 제거하는 공정을 개발했다. 이때 세정에 사용된 물은 역삼투압 방법을 이용해 염화칼륨을 분리하고 세정에 재활용하는 기술을 적용해 물 사용량을 최소화했다.

* 역삼투: 묽은 용액과 진한 용액이 반투과성막을 사이에 두고 있을 때 농도가 더 진한쪽으로 용매(일반적으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이 삼투이며, 삼투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면 묽은 용액쪽으로 용매가 이동하게 되며 이 현상을 역삼투라 한다.

 

염화칼륨이 제거된 미세 먼지 잔여물은 70% 이상이 생석회(CaO)로 구성돼 있어 탄산칼슘으로 전환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탄산화 반응의 원료로 사용된다. 따라서 폐플라스틱 연소에 의해 발생된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기존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은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전환하는 각각의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하나의 반응기에서 이산화탄소 포집과 동시에 유용한 탄산칼슘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공법이다.

 

시멘트 공장 현장에 설치된 파일럿 규모(100kg-CO2/day) 평가에서 이산화탄소 제거율 97.5%, 흡수된 이산화탄소로부터 탄산칼슘으로의 전환율은 100%의 성능을 보였으며 초미세먼지(PM2.5)90% 제거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이산화탄소로부터 생산한 탄산칼슘은 도로용 건자재로도 활용할 수 있다.

 

전 세계 시멘트 산업의 당면 과제는 대체연료 개발과 온실가스 저감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대체연료 확대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온실가스로부터 가치 있는 물질을 생산하기 때문에 국내 시멘트업체 확대 적용에 더해 해외 시장 진출도 기대된다. 또한 탄소중립 실현과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로 평가된다.

 

이 기술은 폐자원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포집과 동시에 전환하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시멘트 산업뿐 아니라 발전, 제철, 소각로 등 다양한 사업장으로 적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연구책임자인 정순관 책임연구원은 시멘트 산업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장점으로 승화시키는 역발상의 기술로써 국가 탄소중립 실현 및 폐플라스틱 대란 해소에 일정부분 기여할 수 있는 혁신 기술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평화엔지니어링, 에니텍, 고등기술연구원, 경기대, 공주대와 개발된 기술을 확대 적용하기 위한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4건의 국내외 특허출원 및 3건의 국내특허 등록이 완료됐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4/20

전체 384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 태양광발전소 고장진단 전문 엔지니어가 아닌 AI가 한다.- 10년 이상 수집한 발전소 고장 I-V(전류-전압) 곡선데이터 라벨링 데이터베이스 구축- 95% 이상 정…
2023.09.20
- 9/19(화), 포스코기술연구원에서 바이오매스 활용 및 온실가스 저감 기술 업무협약 체결- 철강 산업 석탄 대체를 위한 탄소중립적 바이오매스 적용 공동 개발…
2023.09.19
- 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등 폐기물을 고부가 자원으로 재탄생 시켜- 정읍 소재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대상으로 97% 이상의 바이오메탄 생산 실증 완료- 동남아…
2023.09.11
- 제4회 수소경제와 한국의 수소기술 학술토론회(심포지엄)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창근, 이하 ‘에너지연’)은 8월 23일(수)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
2023.08.24
- 전극 미세조직 최적화를 통해 고온 연료전지/수전해 장치의 수명 향상 새 지평 열어- 초음파분무 습식침투 공정 적용 대면적 고체산화물 전지 상용화 기술 적…
2023.08.17
- 잉여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 경제성 분석 모델 도출과 타당성 검증 완료- 재생에너지 출력 제한 문제 해결, 수소 생산 단가 획기적 절감 가능- …
2023.06.01
- 농업폐기물을 이용한 ‘레불린산 생산 공정 최적화’ 성공- 버려지는 농업폐기물로 항공유, 고부가 바이오 의약품도 생산 가능- Agricultural engineering 분야…
2023.05.18
- 바인더를 통해 차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난제를 해결하다 - 상용 바인더 대비 획기적 수명 및 출력 특성 향상- 바인더의 작동 원리 최초 규명 및 향후 개…
2023.04.18
- 국내 기술로 개발한 세계 최고 수준의 고성능, 고안정성 차세대 알칼라인 수전해 분리막기술- 해외 상용 분리막 대비 수소 생산 밀도 3배 향상 및 수소-산소 …
2023.04.04
- 넓은 작동범위에서 고용량·고안정성을 가지는 전극소재 개발- 다공성 LTO의 합성과 소성으로 넓은 작동범위에서 고용량·고안정성의 LTO 나노 전극소재 개발- …
2023.03.22
- 안정성이 뛰어난 온실가스 고처리 나노촉매 자동화 합성 기술 실증 성공- 경제성, 재현성, 신뢰성이 확보된 고성능 나노촉매 합성 상용화 길 열어- 온실가스 …
2023.02.27
- 고효율 차세대 태양전지 구현을 위한 자기조립단분자막 기반의 정공 수송 물질 개발- 중심원자를 치환하는 매우 간단한 공정만으로 효율과 안정성 향상- 차세…
2023.02.14
- 중소·중견기업,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효율향상 길 열려- 중소·중견기업 최고 난제, 온라인 플랫폼으로 풀린다- 고효율 신기술의 중소·중견기업 보급을 위한 …
2023.01.31
- 과기부 주최 「2022년 연구노트 작성·관리·활용 우수사례 공모전」 기관부문 최우수상수상- 2014년에 이어 두 번째 수상...명실상부한 연구노트 작성·관리 최…
2023.01.18
- 오랜 축산 분뇨 악취 문제 해결하는 신기술 개발- 친환경 유용 미생물로 악취와 슬러지 동시에 해결한다- 기존 슬러지 분해 효율 대비 3.6배 향상, 암모니아 …
2022.12.27
‘탄소중립기술로 열어가는 더 맑은 지구와 더 강한 경제’에너지연, 전체 구성원의 지식과 성과 공유를 위한 『KIER Conference 2022』 개최[KIER Conference 20…
2022.12.15
- ‘KIER 에너지에 빠지다’를 주제로 12월 8일(목) 제주글로벌연구센터에서 개최- 과학 체험 프로그램, 과학 레크리에이션, 진로 멘토링 등 다양한 프로그램 운…
2022.12.09
- 무기화학분석(IC, ICP-OES), ‘Laboratory of Excellence’ 획득- 무기화학분석 분야 분석능력과 신뢰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아[연구원이 ICP-OES를 활용해 분…
2022.12.08
- 촉매 성능 평가 데이터 축적 및 자율수행 실험 발판 마련- 합성 나노촉매, 상용 촉매 물질을 인력 대비 30배 이상 빠르게 성능 평가할 수 있는 기술 확보- 촉…
2022.12.01
- 스마트 인버터로 들쑥날쑥 재생에너지 불안정성, 출력제한 해결해- 재생에너지 활성화의 핵심, 스마트 인버터 기술 개발 돼- 강화된 계통 연계 국제 규정을 …
2022.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