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에너지연, 중온 열전소자 제조 기술 미국화학회 논문 게재

  • 작성일 2018.04.19
  • 조회수 43552

 

- 세계 최고수준의 출력밀도 특성을 가지는 고신뢰성의 중온 열전소자 개발

- 에너지 분야 유력 국제저널인 미국화학회 ‘어플라이드 에너지 머티리얼즈’ 논문 발표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곽병성 원장) 분리변환소재연구실이 개발한 고성능 중온 열전소자 기술이 2018년 3월, 에너지 분야 유력지인 미국화학회 ‘어플라이드 에너지 머티리얼즈(Applied Energy Materials)’에 게재됐다.

 

   

○ 어플라이드 에너지 머티리얼즈(Applied Energy Materials) : 에너지 분야의 높은 주목을 받고있는 국제 논문집으로 미국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발행함(2018년 3월 신규 발행)


 

 ○ 열전소자는 열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에너지 소자로, 열을 가하면 전기를 생성하고 전기를 가하면 흡열 반응을 하는 특성을 갖고 있어 온도계나 냉각 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발전 동작온도가 400~600℃인 중온 열전소자는 자동차 폐열 회수, 우주탐사선 전력용 등 다양한 신규 열 활용 발전분야에 적용 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는 기술 분야이지만, 낮은 발전 효율이 현장 적용을 늦추는 한계로 인식됐다.


■ 연구원은 대표적인 중온 열전소자인 스쿠테루다이트(skutterudite) 열전소자를 구성하는 금속화층으로 철-니켈(Fe-Ni)층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기존 기술 대비 개선된 장기 신뢰성과 높은 출력밀도 두 가지 특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 중온 열전소자는 크게 열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열전소재 부분과 열전소재들을 배열하고 고정시켜주는 기판부로 나뉜다. 열전소재와 기판부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추가 기능층이 필요한데, 이 중 열전소재 표면에 접합된 금속화층(Metallization layer)은 두 파트가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 이 금속화층은 고온에서 열전소재, 혹은 기판물질이 서로 확산돼 열화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스쿠테루다이트 열전소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티타늄(Ti) 금속화층은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이 부족해 소자를 장시간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했다.

 ○ 이에 비해 연구원은 티타늄 금속화층을 대체하는 철-니켈(Fe-Ni) 금속화층을 새로 개발해 확산방지 성능을 대폭 개선했다. 또한, 열전변환 출력밀도 2.1W/cm2를 기록, 기존 기술 대비 20% 향상된 수준의 성능을 구현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을 입증했다.


■ 연구 논문의 제1저자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상현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세계최고 수준의 열전발전 관련 소자기술을 확보한 데 의의가 크다”며 “단순히 출력특성을 높이는 수준을 넘어서 철-니켈(Fe-Ni)이라는 신규 기능층을 통해 개발된 소자가 고온에서 오랜 기간 작동하더라도 성능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개발된 중고온용 열전소자가 다양한 열 관련 발전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극대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  또한 공동 교신저자인 유충열 박사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열전소자 기술개발에 그치지 않고, 소자를 산업화하는데 필수적인 열전발전소자 측정 기술 및 장비개발을 수행하고 있다.”며, “최종적인 열전발전소자를 활용한 발전시스템까지 연구를 폭넓게 수행하여 본 연구 성과가 실제 산업에 적용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한편, 이번 연구는 에너지연의 2018년도 주요사업인 ‘계면 확산 방지형 중온열전모듈 개발’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진행돼 국내 및 해외 출원이 완료된 상태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7/20

전체 381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 국내 최초로 다른 연료와의 혼합 없이 순수 암모니아를 이용한 연소 기술 개발- 무탄소 연료 암모니아의 직접 이용 기술 개발 통해 탄소 중립 기여- 탄소중립…
2021.06.29
- 국내 기술로 개발한 10kW급 알칼라인 수전해 스택 자체 개발- 1,000시간 이상 운전, 82% 고효율 수소 생산 성공- 해외 선도기업 대비 충분한 경쟁력 확보 및 …
2021.06.24
- 탄소중립 핵심 분야인 태양광 모듈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보고서 2편 번역 발간- IEA-PVPS(국제 에너지기구 태양광발전 협력사업) 홈페이지에 공식게재   ■…
2021.06.16
- 온실가스인 메탄을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원료로 전환- Easy&Simple&Cheap 질소 도핑 기술 개발로 산화반응 억제 및 에틸렌 선택도 극대화   ■ 한국에너지기…
2021.06.10
- 그린 수소 생산용 고성능 수전해 촉매 개발...온도조절만으로 나노입자 조성 최적화 - 금속-금속산화물 시너지 효과 이용, 기존 상용 수전해 촉매 대비 61% …
2021.06.03
- 신개념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 개발로 유용 화합물 생산성 2배 향상- 전해액 대신 수증기를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경제성과 온실가스 감축효과…
2021.05.27
- 국내 최초 태양전지 소자 전류-전압 특성곡선 및 분광응답도 측정에 관한 KOLAS 공인시험기관 자격 획득 및 국제시험소상호인정협정(ILAC-MRA) 가입- 차세대 …
2021.05.17
- 에너지연, 도시형 플러스에너지커뮤니티 플랫폼 개발- 신·재생에너지기술 융복합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플러스에너지건물 선보이다.- 도시형 플러스에너지커…
2021.05.10
- 수소 연료전지 수명 극대화한 코어-쉘 구조 전극촉매 개발- 가압 질화 공정 도입을 통한 코어-쉘 전극촉매 내구성 증대 기술 확보 - 코어-쉘 전극촉매 활용…
2021.05.07
- 초미세먼지, 부유세균,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3-in-1 제거 성능 검증 - 정전기적 인력, 수산화 이온 및 오존수의 산화를 이용한 차세대 공기청정 기술 - 지하…
2021.05.04
- 초미세먼지 획기적으로 줄이는 저비용 기술 개발- 극저온 질소산화물 저감 효율 향상, 광역온도 운전 에너지절감형 배연탈질기술 - 에너지효율 향상을 통한 …
2021.03.25
-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의 고부가가치 활용 기술 개발- 다공성 그래핀 나노샌드위치 구조로 연료전지 촉매 내구성 극대화   □ 국내 연구진이 연료전지에 사용…
2021.03.10
- 먼지배출 1/10로 줄이는 복합재생 백필터 집진기술 상용화- 15m 백필터 적용 고성능, 저비용 여과집진장치, 포스코 광양 제철소에서 실증완료- 복합재생 백필…
2021.02.25
- 스스로 색이 변하는 스마트윈도우, 반응원리 규명으로 성능과 내구성 향상 기대- 광감응 자동 색변환 스마트윈도우 반응 메커니즘 규명 - 스마트윈도우 반응…
2021.02.18
- 폐비닐 대란의 해결 방법은 열분해에 의한 청정 오일 생산이 대안- 친환경적, 경제적으로 우수한 연속식 열분해 오일화 플랜트 개발 - 오일 생산 수율 60%이…
2021.02.15
- 에너지연의 에너지닥터 기술멘토링, 기업성장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애로기술 해결 지원- 2년간의 애로기술 지원으로 FDA인증과 제품출시 이끌어- 유해가…
2021.02.09
- 태양빛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시각적인 투광성도 함께 구현하는 미래형 에너지하베스팅 투명 태양전지 기술개발- 차세대 투명 태양전지기술, 재료과학분야 저…
2021.02.04
- 온실가스인 메탄으로부터 고부가가치 석유화학 원료 생산- 셰일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을 고부가가치 에틸렌으로 전환 □ 탄소원자 하나와 수소 네 개가 결합한 …
2021.01.28
- 불 안나는 ESS 바나듐 전해액 대량생산, 재생에너지 전환의 마중물 역할- 촉매반응을 이용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고순도 전해액 대량생산 성공- 비 발…
2021.01.21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로 에너지 대상 수상 - KIER CONFERENCE를 통해 성과공유를 지속하고, 성과공유를 통해 지식자산 축적의 장 마련   ■ 한국에…
202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