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에너지연, 연료전지연구실 국가연구거점으로 도약

  • 작성일 2020.10.07
  • 조회수 22577

- 에너지연 연료전지연구실, 연료전지 분야 유일의 국가연구실로 선정

- 수소연료전지 핵심소재 기술 개발 및 소재-시스템 산업화 연계로 연료전지 분야의 자립역량 강화에 기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연료전지연구실은 핵심소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과 소재·시스템 산업화 연계 및 실증 부문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인정받아 국가연구실(N-LAB)로 선정되어 922() 현판식을 열었다.

 

국가연구실 지정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의 후속조치인 국가연구인프라(3N) 2단계 지정안에 근거한 것으로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자립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역량 결집과 일본 수출규제와 같은 위기상황에서의 신속 대응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실은 전체 25개의 국가연구실 중 연료전지 분야의 유일한 연구실로 선정됐다.

 

연료전지연구실은 1980년부터 국내 최초로 연료전지 분야 연구를 시작해 수소연료전지 관련 소재를 비롯한 부품, 시스템, 평가 등 전주기 기술을 보유한 국내 유일의 연구실이다. 또한, 연구실은 연료전지 분야 국내외 산··연 연구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확대를 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FC), 알칼리막연료전지(AMFC) 및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FC): 수소이온을 투과시킬 수 있는 고분자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 알칼리막연료전지(AMFC): 음이온(수산화이온, OH-) 교환전해질막을 이용한 연료전지

*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산소 또는 수소 이온을 투과시킬 수 있는 고체산화물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박구곤 연료전지연구실장은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선도적 위치를 유지하며 시장을 이끌어가는 데 필요한 핵심기술 및 안정적인 소재-부품-시스템의 밸류체인 구축에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하고자 한다.”산업화 과정에서 국제정세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핵심 소재 및 부품인 탄소계지지체, 전해질막, 막전극접합체 등에 대한 기술의 국산화 및 사업화 영역에서 협업의 수준을 강화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실의 연료전지연구실은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연료전지 분야의 연구 우수성을 인정받아 1999년 국내 최초 연료전지 분야 국가지정연구실(선정기관: 과학기술부) 2019년 정부출연연구기관 6대 우수연구그룹(선정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 선정된 바 있다.

프린트 돌아가기

페이지 6/19

전체 378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2022.02.16 85,539
2022.02.09 66,799
2022.01.27 52,950
2022.01.21 46,861
2022.01.17 14,673
2021.12.16 15,000
2021.11.24 17,834
2021.11.11 15,649
2021.10.14 15,180
2021.10.07 18,708
2021.09.29 14,942
2021.09.09 4
2021.09.02 15,515
2021.08.24 16,047
2021.08.19 17,317
2021.08.11 18,873
2021.07.08 16,452
2021.06.29 18,528
2021.06.24 18,296
2021.06.16 18,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