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 수준 태양광 성능 평가 기술 국산화
에너지연, 표준연 협력연구 통해 핵심 인프라기술 개발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 기술력 확보
세계선도 기관과 측정 정밀도 대등
√ 전 세계적으로 환경 친화적인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지난 10년간 태양광 시장이 급속히 성장했다. 2010년에는 전년 대비 무려 100%의 성장세를 과시했으며, 올해 시장규모는 500억 달러로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추월할 전망이다.
◦ 국내에서도 90여개의 산업체들이 태양광의 핵심인 태양전지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메모리, 시스템, 광소자를 포함한 전체 반도체 산업의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 태양광 산업의 급속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신뢰성 있는 태양전지 성능 평가가 독자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국내 관련 산업계의 경쟁력 향상에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황주호 원장)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김명수 원장)은 공동으로 미국, 독일, 일본 등 태양광 기술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1차 기준 태양전지 교정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KIER과 KRISS 공동 연구팀은 솔라 시뮬레이터의 절대복사도 측정방법과 미분 분광감응도 측정방식을 활용해 세계선도 기관과 측정 일치도가 99.5% 이상인『1차 기준 태양전지 교정기술』을 확보하게 되었다.
◦ 1차 기준 태양전지는 태양전지 중 가장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있어 시험기관이나 생산 현장에서 사용하는 태양전지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최상위 비교기준으로 사용되며 신뢰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 그 동안 우리나라는 태양전지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외국에서 교정한 1차 기준 태양전지에 의존해 측정의 신뢰도나 자립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 그러나 KRISS가 보유한 광측정 표준기 교정 기술과 KIER이 보유한 태양전지 성능평가 기술을 결합하여 해외 선도기관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1차 기준 태양전지 교정기술의 국산화를 이루게 되었다.
√ 참여연구원인 표준연 이동훈 박사는 “국가 측정표준 확립 및 보급과 태양광을 연구하는 최고의 기관들이 서로 협력하여, 국가가 반드시 확보해야 할 인프라 기술을 개발한 사례로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밝혔다.
√ 공동연구팀은 이번에 확보한 1차 기준 태양전지 교정기술을 바탕으로 국제규격으로 정해진 2차 기준 태양전지를 표준 기준물로 개발하여 국내 산업체와 시험기관에 보급하고 교정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 연구총괄책임자인 에너지연 윤경훈 박사는 “이 기술을 통해 최근 태양전지 기술개발과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국내 태양광 산업에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평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 또한, 1차 및 2차 기준 태양전지 교정에 관한 국제협력프로그램인 WPVS (World Photovoltaic Scale : 세계태양전지눈금)에 참여하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태양전지 제품의 성능평가 신뢰도를 제고하는데도 기여할 예정이다.
√ 지식경제부 기술혁신사업(신⋅재생에너지 기반구축사업)으로 실시된 이번 연구는 태양전지 성능평가 기술의 자립성을 확보하여 국내 태양광산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전체 365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2012.03.09 | 68,112 | |
2012.03.09 | 66,441 | |
2012.02.17 | 69,075 | |
2012.02.02 | 68,291 | |
2011.12.07 | 69,639 | |
2011.11.15 | 68,345 | |
2011.11.15 | 67,163 | |
2011.11.05 | 63,919 | |
2011.10.25 | 67,762 | |
2011.09.27 | 67,054 | |
2011.08.31 | 72,583 | |
2011.08.25 | 64,782 | |
2011.07.13 | 65,949 | |
2011.07.05 | 65,444 | |
2011.07.04 | 67,317 | |
2011.06.29 | 65,170 | |
2011.06.22 | 66,262 | |
2011.06.20 | 68,502 | |
2011.06.18 | 69,254 | |
2011.06.01 | 64,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