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보도자료

폐플라스틱 다시보자. 수소, 화학원료 쏙쏙 뽑아낸다.

  • 작성일 2022.08.24
  • 조회수 156033

- 국내 자체 기술로 개발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부터 수소 생산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

- 한화건설에 가스화기 설계 및 운영에 관한 노하우 이전...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이용한 수소 생산 사업화 진행 예정

 

국내 연구진이 폐플라스틱에서 수소, 화학원료 생산이 가능한 가스화 기술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한화건설에 기술이전되어 수소 생산 사업화에 성큼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이하 에너지연’) 청정연료연구실 라호원 박사 연구진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가스화해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공정개발에 성공했다. 연구진이 그동안 활용처가 제한적이었던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활용해 수소, 일산화탄소 등 고부가 화학원료로 재탄생시키는 기술을 국산화한 것이다. 국내 가스화 기술은 현재 기술개발 단계로, 이번 기술이전은 사업화 단계에 진입한 유일한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폐플라스틱을 무산소 분위기에서 가열하여 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유화유를 의미한다.

 

폐플라스틱의 처리방법에 있어 매립과 소각은 면적 제한, 지표/지하수 오염, 소각시 불완전 연소로 인한 환경오염을 심화시키는 한계가 있다. 이에 폐플라스틱을 친환경적이고 고부가가치화(발전연료, 기초화학물질)시킬 수 있는 가스화 기술이 부상하고 있다.

* 2016년 기준 한국인 1인이 1년간 배출한 플라스틱 쓰레기는 88kg으로 미국, 영국에 이어 세계 3위이다.

 

정부에서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핵심과제로 열분해 등 화학적 재활용을 통한 폐플라스틱의 ·원료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증가하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유를 석유제품의 원료로 사용하거나 수소화 사업에 활용하는 등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위한 시장은 확대될 전망이다.

 

연구진은 2000년대 초반부터 축적해온 석탄, 바이오매스 등의 탄화수소계 원료를 활용한 가스화 공정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가스화 기술 개발에 성공해 수소와 일산화탄소 생성비가 90% 이상인 합성가스를 생산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고온·고압 상태의 가스화기에서 한정된 산소 스팀과 함께 불완전 연소시켜 수소(H2)와 일산화탄소(CO)가 주성분인 합성가스(Syngas) 생산한다. 생산된 합성가스를 정제, 전환, 분리 공정을 거치면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가스화 공정을 활용하면 기존에 사용처가 한정적이던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 기초, 특수 화학물질에서 발전연료, 전력생산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고부가 파생상품을 생산할 수 있다.

 

연구진은 가스화 공정으로 열분해가 가지는 고열량과 낮은 재(Ash) 함량 등의 특징으로 인해 수소와 일산화탄소 생성비가 90% 이상인 고품질의 합성가스 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한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한화건설(대표 최광호)824일 대전 본원에서 가스화기 설계 및 운영에 관한 노하우기술 이전 체결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에너지연 청정연료연구실 윤형철 실장, 한화건설 플랜트사업본부 나일석 상무 등 관계자 10명이 참석했다.

 

연구책임자인 라호원 박사는 이번 기술 이전은 국내 자체기술로 개발된 가스화 공정 설계 및 운영 기술에 대한 사업화로써 폐플라스틱의 고부가가치 자원화를 통해 탄소중립을 위한 자원순환 경제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화건설 플랜트사업본부 나일석 상무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가스화 기술이전으로 저탄소 수소 생산기술을 확보하게 되었고, 수소 생산뿐만 아니라 친환경 사업의 전후방에 걸쳐 탄소저감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본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프린트 돌아가기

전체 339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2024.03.26 3,235
2024.03.07 29,942
2024.02.29 39,190
2024.02.21 50,167
2024.02.06 70,811
2024.01.25 83,968
2024.01.18 67,700
2023.12.19 99,464
2023.12.13 95,806
2023.11.30 93,363
2023.11.21 89,739
2023.11.20 80,740
2023.11.15 47,270
2023.11.08 42,354
2023.10.26 49,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