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vol. 2009-43
중국의 그린에너지산업 지원정책 및 산업현황
출처 : KOTRA Global Window Report(2009.9.28), 상하이KBC
재생가능에너지 중장기발전계획
전 세계의 ‘탄소제로’ 도시 프로젝트가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중
최근 중국 풍력발전과 태양광에너지 발전은 목표치를 크게 초월, 2009년 매체보도에 의하면 중국은 발전목표를 높일 것이라고 함. 그 중 풍력발전은 2020년의 목표치인 3000만㎾h에서 1억㎾h로, 태양광에너지 발전규모는 180만㎾h에서 천만㎾h이상으로 확대예정임.

< <표 1> 중국 재생가능에너지 발전목표 >

구분 2010목표 2020목표
풍력에너지(만kWh) 500 3,000
생물에너지(만kWh) 550 3,000
태양광에너지(만kWh) 30 180
지열에너지(Mt coal eqv.) 400 1,200
주요 지원정책
R&D 지원정책
2008년 중앙재정부에서는 400억 위앤의 자금을 10대 중점 에너지절약공정과 환경보호설비 등 프로젝트건설에 배정함. 그 중에는 건축에너지절감, LED, 정부기구에너지절약 및 에너지절약검사와 기술서비스계열 건설공정 등이 포함됨.
2008년 말 중국정부는 4조 위앤 투자계획에서 에너지 기초시설 프로젝트건설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그 중 풍력발전 주요기술의 국산화도 포함됨.
국가에너지국에 의하면 2009년 국가는 에너지전력개발에 5800억 위앤에 달하는 투자를 진행할 것이며 중점은 원자력발전, 풍력발전 등 신에너지일 것이라고 밝힘.
세제혜택 및 금융지원 정책
재정부는 2008년 8월 '풍력발전설비산업화 전문자금관리법'을 발표실시함. 조건에 부합되는 50대의 ㎿급 풍력발전소에 순위별로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밝힘.
2009년 재정부와 도시농촌건설부에서 공동발표한 'solar loof 프로젝트'에 의하면 태양광에너지 건설에 대해 원칙상 20위앤/Wp 보조금을 지급함.
- 재정부, 과학기술부, 국가에너지국이 공동으로 '금태양시범프로젝트'개시를 공포해 시스템 연계형 태양광발전은 50%의 보조금을 지급하며 외딴 지역의 독립 태양광발전 등 프로젝트에 대해서 최고로 70%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규정
2009년 과학기술부와 재정부에서 공동으로 '10개 도시에 천 대의 차량' 시범공정을 가동했으며 향후 3년간 10개 이상의 조건에 부합되는 도시에서 천 대 이상의 하이브리드자동차, 전기자동차와 연료전지자동차를 발전시키고 에너지공급 기초시설의 대규모 시범실시계획임. 2010년 신에너지 자동차의 수량은 1만 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
- '자동차산업 진흥계획세칙'에 따르면 2009년 12월 신규에너지 자동차 기초시설 건설계획이 발표될 것이며, 전동자동차 쾌속충전망이 건립될 것이라고 함.
태양광 산업 현황
풍부한 태양광에너지 보유
2/3 국토면적의 전년 일조시간이 2200시간 이상에 달함. 또한 사막면적이 커 태양광에너지 발전은 무한한 잠재력이 있음.
2007년 중국 에너지산업 규모는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2008년 불황 속에서도 30%의 증가율 유지
2008년 중국 국내시장에서 태양광에너지 설비매출액이 17억6600만 위앤이며 전년 동기 대비 70.62% 증가함.
태양전지 생산대국 부상
2008년 실리콘 태양광전지 생산량은 세계 총 생산량의 26%인 1.78GW로 세계 1위를 차지했음.
2008년 중국 태양전지 생산량은 2300㎿이며 98% 가량이 해외수출되고 국내사용량은 50㎿에 불과
현재 준비 중인 폴리실리콘 프로젝트가 생산에 투입되면 생산량이 14만 톤에 달할 것임. 중국투자컨설팅(中投顧問)에너지연구부의 통계에 의하면 현재 중국에서 20개 폴리실리콘 프로젝트를 건설하고 있으며 총 투자액은 700억 위앤 초과
도시 난방 및 옥상 태양광 계획을 상하이, 베이징, 광둥, 장쑤, 산둥 등 대도시에서 중점적으로 실시함. 2010년에는 전국 태양광에너지 발전 총량이 5만㎾에 달할 것으로 전망
중국 태양광에너지 기술현황
2008년까지 중국에는 500여 개 태양광 기업과 연구개발소가 있으며, 폴리실리콘원료기업이 20여 개 있고 대형기업은 부족한 편임.
중국의 폴리실리콘 원자재 제조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함. 국내 관련 기업은 기술수준도 낮으며 규모도 작지만 중국의 실리콘칩 등 생산기술은 높은 편임.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결정질 실리콘전지에 비해 원가우위에 있지만 중국은 기술 부족으로 비정질 실리콘 태양에너지 배터리 원자재 TCO를 수입에만 의존했음.
2009년 중국이 자체연구개발한 "건축용 대형 태양광에너지 부품"은 세계에서 가장 큰 비정질 실리콘 태양광에너지 프로젝트이며 275㎾ 옥상 태양광 프로젝트가 산둥성 웨이하이시에서 착공. 이 프로젝트는 성능이 높으며 건축 커튼월, 지붕 등에 응용됨.
주요 지원정책
2006년 중국 지상 풍력에너지 총 매장량은 42억㎾, 개발가능량은 3억㎾이며 근해의 풍력에너지자원 개발 가능량은 7억5000만㎾임. 실제 풍력에너지 개발 가능 총 매장량은 10억㎾ 이상에 달함.
중국 풍력에너지는 동남연해 및 부근의 섬, 신장, 내몽고, 간쑤(甘肅)저우랑(走廊), 동북, 서북, 화북지역, 청장고원 등 부분적 지역에 분포. 풍속은 매년 3m/s 이상으로 4000시간에 달함.
풍력발전은 중국에서 발전속도가 가장 빠름.
2008년 중국은 이미 100여 개의 풍력발전기지를 건설했음. 2008년 말 기준 중국 풍력발전설비 용량은 1215만3000㎾로 세계 4위로 부상함. 풍력에너지설비 증가량은 625만㎾에 달하며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함.
2008년 발표한 '재생가능에너지자원의 중장기계획'에 의하면 2010년에 이르러 중국 풍력 발전력은 2200㎾를 돌파할 것임. 풍력설비의 생산력은 연간 500만㎾가 가능하며 풍력발전 부품세트 연간 생산능력은 800만㎾에 달함.
현재 국가에너지자원국에서 해상풍력발전 관련 계획을 배치하고 있으며 해상풍력발전은 향후 중국 풍력발전의 주요한 부분이 될 것임.
- 중국 첫 해상풍력발전 시범프로젝트인 상하이 동해대교 100㎿ 풍력발전기지는 8월 초에 먼저 3대의 3㎿ 풍력발전기가 가동될 것임.
- 이 프로젝트의 총 투자액은 23억 위앤이며 용량이 3㎿인 국산풍력발전기 34대를 설치했으며 총 설비용량은 102MW임. 2009년 상하이 엑스포 개막전에 연계형 발전은 완료돼 연간 전기공급량이 2.6억 도에 달해 상하이 40만 인구의 생활용 전기수요를 만족시킬 것임.
중국 풍력발전설비제조업체는 2004년의 6개에서 2008년의 70여개로 증가. 그 중 국유 주식통제회사 27개, 민영기업 23개 및 20여개의  중외합작기업과 외국독자기업이 포함됨.
- 풍력발전업체 3대기업인 화뤄이펑디엔(華銳風電), 진펑커지(金風科技)과 둥팡디엔치(東方電氣)의 시장점유율이 57%를 차지하며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함.

< <표 2> 2007~2008 중국 5대 기업 풍력발전설비 시장점유율 (단위:%) >

구분 2008년 2007년 변화
화뤄이(華銳) 22 21 2
진펑(金風) 18 25 -7
둥팡디엔치(東方電氣) 17 7 10
Vestas 10 11 -2
Gamesa 8 17 -9
중국 풍력발전은 고속 발전단계에 진입. 지상 풍력발전설비의 최대 용량은 2mw이며 해상 풍력발전설비 최대 용량은 3mw에 달함.
현재 중국은 메가와트급 풍력발전설비제조기술을 장악했으며 규모화된 생산력을 갖춤. 해외기술 도입과 자체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600㎾~1.5mw의 연계형 풍력발전설비 제조 가능.
2007년 중국은 2mw 변속 풍력발전설비의 지적소유권을 획득했으며 이미 대량생산에 투입. 이는 중국에서 용량이 가장 큰 지상 풍력발전설비임.
2009년 5월 화뤄이(華銳)는 중국에서 용량이 가장 큰 3MW 해상풍력발전설비를 제조해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
시사점
중국의 그린에너지산업은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정책과 자국 내 풍부한 재생에너지자원 개발 가능량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2008년 실리콘 태양광전지 생산량은 세계 1위를 차지하였으며, 풍력발전설비 제조업체는 2004년 6개에서 2008년 70여개로 증가
그러나 기술력 측면에서 살펴보면, 풍력발전의 경우에는 메가와트급 풍력발전설비제조기술을 장악하고 규모화된 생산력을 갖추고 있으나, 태양광발전의 경우에는 기술 부족으로 원자재 제조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이러한 이유로 중국정부는 외국기업이 신형 에너지 친환경 건축자재의 개발생산, 신에너지 자동차 엔진 및 엔진 연구개발기구 설립, 태양에너지 배터리 전용설비 제조 등 신에너지산업에 진입하는 것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므로, 관련 기술 확보를 통한 중국 시장 진출 노력이 필요함
제공된 뉴스레터에 만족하십니까?

본 메일은 발신 전용 메일로 회원님께서 메일수신을 동의하셨기에 발송되었습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드리는 각종 정보의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eastrain@kier.re.kr 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If  you do not want this type of information or email, please click here
기타 문의 사항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웹사이트의 [ 고객참여서비스> 고객의소리> 묻고답하기 ] 메뉴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05-345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102 TEL. 042-860-3114  |  FAX. 042-861-6224 
COPYRIGHT(C)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ALL RIGHTS RESERVED.

eastrain@kier.re.kreastrain@kier.re.kr고객참여서비스> 고객의소리> 묻고답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