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기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획기사

[헤럴드경제] 지역주도 탄소중립 선결과제

  • 작성일 2021.12.13
  • 조회수 7882

이번주는 정부 부처와 지자체가 합동으로 운영하는 탄소중립 주간이다. 2050 탄소중립 선언 1주년을 맞아 시민이 함께하는 소통의 장으로 마련한 것이다.

 

전 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이 필요한 매우 어렵고 힘든 길이지만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해 사회구성원 모두가 작은 노력부터 같이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국가적 목표와 전략을 지자체로 확산하고 공동 협력할 수 있어야 그 성공이 가능하기에 지역의 주도적 역할이 중요하다. 해외에서도 도시와 지방정부가 온실가스의 주요 배출원이자 감축 이행의 주체라는 인식하에 자발적으로 탄소중립에 앞장서는 사례가 확산되고 있다.

 

우리도 200개 이상의 지자체가 기후위기 비상선언을 선포하고 100여개 지자체가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에 참여 중이나 선언이 구체적 실행으로 이어지기에는 역부족이다. 에너지 수급과 산업 현황이 서로 다른 지역들이 각 지역 실정에 맞춰 탄소중립 이행을 주도하는 실질적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정부-지자체 간 체계적 협업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충남 등 석탄발전을 비롯한 고탄소산업으로 온실가스를 크게 배출하는 지역과 서울 등 대도시처럼 에너지 생산의 기여는 적고 그 수혜만 큰 현재의 에너지 생산·소비 지역편중성을 고려해야 한다.

 

탄소배출 절감에 대한 의무와 혜택이 정부-지자체-지역사회 간 갈등 발생의 요인이 되거나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지자체의 주도적 역할수행에 저해 요인이 되지 않도록 지역 환경에 부합하는 권한 이양도 필요하다.

 

지역 주도가 어려운 발전·산업 부문보다는 건물·수송·공공 등 비산업 부문에서 각 지역 특성에 맞게 온실가스 감축원을 발굴하고 능동적 실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별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이 급선무다.

 

국가 차원에서 1990년 이후 최근 연도까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 실적을 국제 분류 기준에 따라 관리하고 보고해온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체계적으로 연계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국가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이지만 지역이 그 감축의 실천을 주도하기 어려운 발전·산업 부문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에너지 통합 플랫폼 구축이다. 도시형 재생에너지 핵심 기술, 에너지 저장이나 에너지 공유 플랫폼 기술 등 특화 기술을 개발·적용해 도시의 에너지 자급율을 높이면 지역 간 전력 수급 불균형 해소에 크게 기여 가능하며, 지역망 중심의 전력계통 개선, 섹터커플링 기술 기반의 부문 간 연계 고도화도 중요하다.

 

그러나 지역에 최적화된 혁신 기술의 적용과 분산 발전의 확대가 탄소중립 구현에 바르게 기여하려면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관리하고 수요와 공급을 예측해 에너지 수급을 최적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수 기관에 분산된 자원 데이터의 통합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산개된 전력데이터의 수집을 법제화하고 데이터 품질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정보의 바른 분석·가공·유통을 뒷받침할 에너지 데이터댐 구축이 필요하다.

 

더불어 AI 기반의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기술 고도화로 전국의 전력 수급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재생에너지의 잉여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 품질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기존 에너지 시스템에 연계시키는 에너지 데이터 플랫폼 구축은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선결 과제다.


기사원문링크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1209000383

프린트 돌아가기

전체 262건의 게시물이 조회되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2024.03.25 33,958
2024.03.04 63,010
2024.02.27 70,955
2024.02.19 81,324
2024.01.25 115,945
2024.01.08 105,941
2023.12.05 123,949
2023.11.20 135,271
2023.10.16 170,698
2023.08.30 199,133
2023.07.24 226,260
2023.07.17 188,209
2023.07.13 173,111
2023.06.15 165,720
2023.05.30 122,003